심규한 <씨네플레이> 기자
속도감, 몰입감을 모두 잡은 조우진의 하드캐리
★★★
아이들과 함께 탄 차 안에 설치된 폭탄, 돈을 원하며 협박하는 범인 때문에 내리지도 멈추지도 못하는 상황이 벌어진다. 익숙한 소재지만 다루는 방법은 영민하다. 서사의 주 무대를 자동차로 설정해 차 안이란 한정된 공간이 주는 몰입감과 위기를 벗어나려 달리는 순간의 속도감을 적절히 활용해 긴장감을 견인한다. 범죄의 이유와 영화의 공간적인 배경이 자연스레 부산저축은행 사태를 연상케 한다. 금융자본이 서민에게 끼친 악행에 대한 비판도 영화의 한 축이다. 조우진, 지창욱, 이재인, 진경 등 배우들의 열연도 돋보인다. 특히 운전석 위에 머물면서도 공포와 불안, 그리고 연민까지 완벽하게 표정으로 담아낸 조우진의 연기에는 어떠한 이견도 없을 것이다.
이은선 영화 저널리스트
절박함으로 달려가는 94분
★★★
모두가 절박하다. 협박을 받는 자, 사건을 해결하려는 자, 협박하는 자, 차 밖에서 상황을 지켜보는 자까지. 영화는 각 위치의 인물들을 비추며 rpm을 높여간다. 협박의 목적과 주체는 금세 유추되기에 추리의 재미는 덜한 편. 오히려 극 안에서 의외로 여러 번 발생하는 정적인 순간들의 정서로 차별점을 보이려 한 듯 보인다. 부산이라는 공간 배경은 2011년 부산저축은행 사건이라는 현실 세계와의 접점을 가지며, 이후 영화의 화살은 자연스럽게 돈을 둘러싼 사회적 모순을 겨냥한다. 리얼 타임에 가까운 스릴러라는 점에서 충분히 설명되지 못하는 것들이 있지만, 인물의 절박함으로 관객을 자연스럽게 동참하게 만드는 힘은 나쁘지 않다. 다만 대부분이 말로 이뤄지는 영화임을 감안했을 때, 대사의 밀도와 말맛은 아쉽게 느껴진다.
이지혜 영화 저널리스트
비현실적인 어느 날의 출근길이 고발하는 현실
★★★
VVIP 고객 대상 은행의 센터장 성규(조성진)는 평범한 출근길에 전화 한 통을 받는다. 발신번호 표시제한으로 걸려온 전화는 차에 폭탄이 설치되어 있으니 살고 싶으면 돈을 준비하라고 지시한다. 영화는 자동차 안이라는 한정된 공간, 휴대폰을 통해서만 전달되는 범인의 목소리 등 제한된 설정 안에서 빠르게 이야기를 전개해 몰입감을 높인다. 해운대 곳곳을 누비며 카체이싱이 펼쳐지는데 세련된 도심의 풍경, 호젓한 해변과 스산한 만까지 갖추고 있는 해운대를 십분 활용했다. 성규에게 왜 이런 일이 생겼을까 따라가다 보면 약자를 착취하는 것에 최적화되어 있는 우리 사회의 민낯을 마주하게 된다.
정시우 영화 저널리스트
소극적인 각색
★★☆
상황적으로 덜컥거리는 부분이 많아서 원작인 <레트리뷰션: 응징의 날>을 찾아봤더니, 원작도 그렇다. 각색 작업에서 원본의 단점을 만회할 기회를 놓쳤거나 눈 감았다는 의미인데, 여러모로 소극적인 각색이란 생각을 지울 수 없다. 그나마 각색의 변형은, 한국적 신파 코드를 심는 데 거의 쓰였다. 그러나 초중반을 책임지는 속도감이 좋고, 속도가 줄어드는 후반부엔 조우진의 연기가 집중력 이탈을 막는다. 조우진의 극을 이끌어 나가는 역량만큼은 확실하게 확인 사살하는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