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기사 카테고리

Movie & Entertainment Magazine from KOREA
>영화

모질지 않아도 살아갈 수 있는 세상을 꿈꾸는, 사소한 일상의 기적을 믿는 영화 〈결혼, 하겠나?〉, 시사와 기자간담회 후기

김지연기자
〈결혼, 하겠나?〉 포스터
〈결혼, 하겠나?〉 포스터

 

<한국이 싫어서> <대도시의 사랑법> 등, 최근 청년 세대의 고충을 미시적으로, 또 거시적으로 담아낸 작품이 속속들이 개봉하고 있다. 오는 26일 개봉하는 영화 <결혼, 하겠나?> 역시 얼핏 한선우(이동휘)라는 개인의 사연에 주목하는 이야기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주관적인 경험을 통해 보편적인 공감대를 이끌어내는 영화다. 

〈결혼, 하겠나?〉
〈결혼, 하겠나?〉

 

오랜 연인 우정(한지은)과의 결혼을 앞두고 선우에게는 경제적, 심리적 재난이 닥친다. 아버지(강신일)가 갑작스럽게 뇌출혈로 쓰러져 중환자실에 입원하게 된 것. 안 그래도 아버지는 어머니(차미경)와 이혼한 상태인 데다가, 큰 빚을 지고 있고, 아버지의 어머니인 할머니는 치매를 앓고 있으며, 아버지의 형제들은 아버지를 외면한다. 그 와중, 선우가 적은 시급을 받으며 시간강사로 일하던 학교에서는 연봉 3천만 원짜리 전임 교원 자리가 난다. 선우와 우정은 결혼, 할 수 있을까?


〈결혼, 하겠나?〉
〈결혼, 하겠나?〉

사소하고도 보편적인 영화 <결혼, 하겠나?>는 청년에게 돋보기를 대어 ‘일상의 재난’에 주목하는 작품이다. 진짜 재난은 블록버스터 영화처럼 거창한 상황이 아니라, 사적인 영역에서 발생한다는 걸 뼈저리게 알게 된 청년 세대는 결혼, 직장 등 중요한 선택의 기로에서 현실의 벽에 마주한다. 

 

얼핏 제목에서는 로맨틱 코미디의 기운이 비치지만, 사실 영화는 전혀 로맨틱하지 않다. <결혼, 하겠나?>는 ‘생계형 코미디’라는 장르를 표방하며, 청년의 고민과 현실을 ‘웃프게’(‘웃기면서 슬프다’는 뜻의 신조어로, 겉으로는 웃기지만 곰곰이 따져 보면 처지가 슬프다는 뜻) 그려낸다. 영화는 거기에 가족, 사회 문제 등을 복합적으로 엮어냈다. 극 중 선우 삼촌(박성근)의 말마따나, 누군가는 “가난은 전염병이고, 모질어야만 살 수 있다고” 말하는 한편, 영화는 마땅히 복지를 받아야 하는 상황임에도 불구, 기초수급 복지조차 신청하기 어려운 사회의 사각지대를 아우르기도 한다. 

 

〈결혼, 하겠나?〉 기자간담회 현장. (왼쪽부터) 배우 이동휘, 한지은, 차미경, 김진태 감독. (사진제공=㈜스튜디오 산타클로스엔터테인먼트)
〈결혼, 하겠나?〉 기자간담회 현장. (왼쪽부터) 배우 이동휘, 한지은, 차미경, 김진태 감독. (사진제공=㈜스튜디오 산타클로스엔터테인먼트)

지난 16일 오후 CGV용산아이파크몰에서는 <결혼, 하겠나?>의 언론배급시사회와 기자간담회가 진행됐다. 현장에는 김진태 감독과 배우 이동휘, 한지은, 차미경 배우가 참석해 영화에 관한 이야기를 나눴다. 김진태 감독에 따르면, <결혼, 하겠나?>는 자신의 자전적인 경험으로부터 출발한 영화다. 기자간담회에서 김진태 감독은 “6~7년 전, 아버지가 몸이 안 좋아지셨다. 그때 기초수급이라는 것도 알게 되고, (복지를 받기 위한) 과정이 있어야 한다는 걸 알게 됐다. 그래서 이게 어쩌면 나 혼자만의 이야기가 아닐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라고 영화를 구상하게 된 이유를 밝혔다. 김 감독은 “영화적으로 많이 각색을 했지만, 아이디어는 나의 경험으로부터 시작되었다. 현실적인 것들 안에서 많은 고민을 해야 하지만, 과연 어떻게 살아야 할까라는 고민에서부터 영화가 시작”되었다고 전했다. 더불어 배우 이동휘는 이 영화에 출연한 이유를 설명하며 “우리가 길을 지나가다 보면, 연인들이 거리를 두고 심각하게 싸우는 모습을 본다. 그런 사람들을 현미경으로, 돋보기로 들여다보면 스토리가 영화같이 그려질 수 있다”라고 밝혔다.

 

〈결혼, 하겠나?〉 기자간담회 현장. (왼쪽부터) 배우 차미경, 한지은, 이동휘, 김진태 감독. (사진제공=㈜스튜디오 산타클로스엔터테인먼트)
〈결혼, 하겠나?〉 기자간담회 현장. (왼쪽부터) 배우 차미경, 한지은, 이동휘, 김진태 감독. (사진제공=㈜스튜디오 산타클로스엔터테인먼트)

김 감독이 영화의 제목을 <모라동>에서 <결혼, 하겠나?>로 변경한 이유도 그와 같은 맥락이다. <결혼, 하겠나?>는 당초 <모라동>이라는 제목으로 2023년 전주국제영화제에 초청된 바 있으나, 개봉 시기를 확정하며 제목을 변경했다. 김진태 감독은 영화의 제목을 변경한 이유에 대해 “‘모라동’이라는 제목은 사적인 느낌이 강하게 들었다. 하지만 나 혼자만의 이야기가 아닐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고, 우리가 함께 공감할 수 있는 제목으로 변경했다. 제목은 이동휘 배우의 아이디어다”라고 전했다. 김 감독은 “청년들에게는 깨고 싶어도 깨지 못하는 아이러니한 유리 천장이 존재한다. 그래서 ‘이 둘이 결혼을 할 수 있을까, 과연 어떻게 될까’라며 영화 이후의 이야기를 우리가 같이 고민해 보면 좋지 않을까”라며 제목에 담긴 의미를 밝혔다.

 

〈결혼, 하겠나?〉
〈결혼, 하겠나?〉

김진태 감독의 경험으로부터 출발한 영화지만, <결혼, 하겠나?> 속 인물들의 감정은 분명 다른 상황에 처해 있는 청년들 역시 공감할 법한 그것이다. 배우 이동휘는 “어떤 작품은 상상을 통해 캐릭터를 구현해야 할 때가 있는데, 이 영화는 나로부터 출발했다. 선우라는 인물에는 감독님의 모습도 담겨 있지만, 선우의 무기력함, 그리고 벽 앞에서 좌절하는 모습 등에는 나 자신을 투영해 보려 했다. (선우에게서) 내가 학교를 다 떨어지고 재수학원에 다니면서 도통 미래가 보이지 않았을 때의 모습을 봤다”라고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선우를 연기했음을 밝혔다. 

 

〈결혼, 하겠나?〉
〈결혼, 하겠나?〉

<결혼, 하겠나?>는 출연진들의 ‘미친 연기’가 극을 능수능란하게 끌고 가는 작품이기도 하다. 관록의 배우 차미경, 강신일은 물론이고, 특별출연한 유재명까지 담담하면서도 가슴을 울리는 연기를 펼친다. 더불어, 배우 이제훈은 수달 전 한 유튜브에 출연해 <결혼, 하겠나?> 속 이동휘의 연기가 ‘미친 연기’라고 평한 바 있는데, 이동휘는 “제훈이 형이 아무래도 나의 소속사 대표이기 때문에 좋게 얘기해 준 게 아닌가”라며 겸손한 모습을 보였다.

 

〈결혼, 하겠나?〉기자간담회 현장. (왼쪽부터) 배우 이동휘, 차미경, 한지은. (사진제공=㈜스튜디오 산타클로스엔터테인먼트)​
〈결혼, 하겠나?〉기자간담회 현장. (왼쪽부터) 배우 이동휘, 차미경, 한지은. (사진제공=㈜스튜디오 산타클로스엔터테인먼트)​

 

이동휘가 출연한 영화 <어쩌면 우린 헤어졌는지 모른다>를 봤다면, 이동휘의 진가는 ‘현실 연기’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결혼, 하겠나?> 역시 마찬가지다. 이동휘는 <카지노>나 <범죄도시4>와 같은 장르 연기도 물론 일품이지만, 현실적인 고민을 품고 있는, ‘평범한 청년의 얼굴’을 표현하는 이동휘는 가히 압권이다. 선우의 연인 우정을 연기한 한지은 역시, 코미디와 진지한 감정 연기를 오가며 극에 활력을 불어넣는다. 

배우 한지은은 <결혼, 하겠나?>에 대해 “옆집에서, 친구에게서 등 가장 가까이에서 느낄 수 있는 희로애락이 모두 들어 있는 영화”라고 말했다. 한지은은 “일상의 힘든 순간에도 늘 유머는 섞여 있다”라고 코미디와 드라마를 오가는 영화의 톤에 대해 설명했다. 배우 차미경은 “우리가 살아가면서 맞게 될 모든 재난에 대해 지혜로움, 그리고 그걸 극복할 수 있는 용기를 주는 영화가 됐으면 좋겠다”라며 26일 개봉하는 <결혼, 하겠나?>에 따뜻한 관심을 줄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