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기사 카테고리

Movie & Entertainment Magazine from KOREA
>NEWS

1인당 숏폼 사용시간, OTT보다 7배 많다…서비스 확장 경쟁 치열

데일리뉴스팀
스마트폰 온라인동영상서비스 (PG) [김민아 제작]
스마트폰 온라인동영상서비스 (PG) [김민아 제작]

한국인들의 숏폼(짧은 동영상) 소비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를 크게 앞지르며 디지털 콘텐츠 시장의 판도를 바꾸고 있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이 13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유튜브·틱톡·인스타그램 등 숏폼 서비스 앱의 1인당 평균 사용시간은 48시간 73분으로 집계됐다.

반면 넷플릭스·티빙·웨이브·디즈니+·쿠팡플레이 등 5개 주요 OTT 앱의 1인당 평균 사용시간은 7시간 14분에 그쳤다. 이는 숏폼 앱 사용시간이 OTT 대비 약 7배 많은 수치다.

이러한 격차는 지난해에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2024년 8월 기준 숏폼 앱 1인당 평균 사용시간은 52시간 2분, OTT는 7시간 17분으로 집계된 바 있다.

업계에서는 이용자들의 영상 체류 시간이 짧아지는 문화적 변화가 숏폼의 인기를 견인하고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또한 글로벌 플랫폼뿐 아니라 네이버와 카카오 같은 국내 기업들이 자체 숏폼 서비스를 적극 도입하면서 이용자들이 취향에 맞는 콘텐츠를 소비하고 직접 생산할 기회가 확대된 점도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이런 추세에 발맞춰 주요 플랫폼 기업들은 숏폼 서비스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카카오 다음은 지난해 12월부터 '다음채널 부스트업 챌린지'를 통해 숏폼 등 콘텐츠 생산을 지원하고 있다. 카카오 관계자는 "부스트업 챌린지 이후 신규 입점 채널과 콘텐츠 수가 지속 증가했다"며 "이용자가 즐길 수 있는 콘텐츠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고 전했다.

카카오는 올해 2분기 다음 앱 하단에 '숏폼' 탭을 신설해 이용자 접점을 늘릴 계획이며, 카카오톡 내에서도 숏폼 등 다양한 포맷의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발견 영역을 연내 출시할 예정이다.

네이버 역시 숏폼 서비스 '클립'의 성장세가 두드러진다. 네이버에 따르면 지난달 클립의 콘텐츠 생산량은 전년 동기 대비 5배 증가했으며, 하루 평균 재생수는 4배, 채널 수는 3배 증가했다.

네이버 관계자는 "지난해 클립 재생 수가 10배 상승하는 등 고속 성장한 데 이어 올해에도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다"며 "창작자 지원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추천 기능 고도화를 이어온 결과로 본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