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2017)의 김지용 촬영감독은 전세계 촬영감독들을 대상으로 그해 최고의 촬영을 가리는 폴란드의 제26회 에너가 카메리마주 영화제에서 최고상에 해당하는 황금개구리상을 수상했다. 매년 11월경에 열리는 에너가 카메리마주 영화제는 수상작들 상당수가 이듬해 초 오스카 시상식 촬영상 부문에 진출해 ‘촬영계의 아카데미’로 불리며 권위와 전통을 인정받고 있다. 한국인으로서는 첫 수상의 영광을 안은 김지용 촬영감독과 함께 경쟁부문에 오른 올해 촬영감독은 브루노 델보넬(코언 형제의 <카우보이의 노래>), 리누스 산드그렌(데이미언 셔젤의 <퍼스트맨>), 폴 토머스 앤더슨(<팬텀 스레드>), 베누아 델놈(줄리언 슈나벨의 <앳 이터너티스 게이트>) 등 쟁쟁한 거장감독들이었다.
<달콤한 인생>(2005)의 촬영감독으로 입봉해 김지운, 황동혁, 장준환, 임필성 감독 등과 오랫동안 손발을 맞춰온 김지용 촬영감독의 지난 작업은 한 가지 색깔, 혹은 고정된 특징으로 쉬이 설명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남한산성>은 그가 이전에 작업했던 어떤 영화와 비교해도 가장 꾸밈이 없는, 민낯 그대로의 카메라워크를 보여줬다. 즉 뭘 더하려고 하지 않는 태도에서 드러나는 간결하고 선명한 움직임이야말로 <남한산성>의 촬영이 보여준 미덕이었다.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한 정통 사극을 표방하고 있는 <남한산성>이 유럽 영화인들에게도 그 의미가 잘 전달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이러한 정직한 카메라의 힘 덕분이 아니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