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질라와 콩의 끝없는 혈투는 이번 주말에도 계속 이어졌다. <고질라 VS. 콩>은 3주 연속 정상을 지키며 계속해서 극장가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는 중이다. 다만 몬스터급 오프닝 성적에 비해 작품의 흥행 동력이 점점 떨어지면서, 16주차 박스오피스는 지난주 대비 28.6%의 하락을 보이며 전체적으로 1,935만 달러를 기록했다.
공포영화 <인 더 어스>가 순위에 진입한 점을 제외하면 상위권 차트는 지난주와 비교해 거의 변화가 없었다. 하지만 다음 주는 다를 듯하다. <고질라 VS. 콩>에 이어 워너 브라더스의 또 다른 블록버스터 <모탈 컴뱃>이 돌아오고, 일본에서 경이로운 흥행기록을 세우고 있는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가 본격적인 개봉에 나서기 때문이다. 두 작품 다 박스오피스 예상치가 지금의 1위권을 위협할 정도로 높아 모처럼만에 차트가 요동치지 않을까 전망된다.
[16주차 상위권/전체 박스오피스 성적: $18,019,042 / $19,358,790]
2021년 16주차 북미 주말 박스오피스
1
고질라 VS. 콩
(Godzilla vs. Kong)
( - )
로튼토마토: 평단 75% / 관객 91%
메타스코어: 59
상영관 수: 3,001 (-83)
주말수익: $7,847,227 (-43.5%)
북미누적: $80,657,654
전세계누적: $390,957,654
제작비: $155,000,000~200,000,000
상영기간: 3주 (19일)
<고질라 VS. 콩>이 정상을 지키며 3주 연속 1위를 달성했다. 지난주 대비 43.5%의 드롭률로 주말 동안 784만 달러 수익을 거둬 북미누적 8000만 달러를 돌파했다. 북미흥행 1억불 돌파 가능성이 가시권에 들었다. 더 고무적인 건 해외흥행이다. 현재까지 전세계적으로 3억 9095만 달러를 기록해 <테넷>의 3억 6365만 달러를 넘어서 팬데믹 기간에 개봉한 할리우드 영화 중 월드와이드 흥행 1위에 올랐다. 큰 이변이 없는 한 다음 주 4억 달러 돌파가 확실시되는데, 향후 개봉을 준비 중인 여러 텐트폴 영화에게도 시장의 전망을 밝히는 좋은 소식으로 다가올 듯하다.
2
노바디
(Nobody)
( - )
로튼토마토: 평단 82% / 관객 94%
메타스코어: 63
상영관 수: 2,405 (+5)
주말수익: $2,500,170 (-5.5%)
북미누적: $19,031,215
전세계누적: $34,487,215
제작비: $16,000,000
상영기간: 4주 (24일)
개봉 4주 차를 넘긴 <노바디>는 2위를 지키며 사이다 액션의 저력을 보여주고 있다. 전주대비 5.5%의 준수한 드롭률로 주말동안 250만 달러를 벌어들여 북미누적 1900만 달러를 돌파했다. 전세계적으로 3448만 달러를 벌어들이며 극장수입만으로도 손익분기점을 능가한 괜찮은 수익을 올렸다. 지난주부터 프리미엄 VOD 서비스를 시작한 <노바디>는 애플TV와 판당고 나우에 1위에 오르며 안방극장에서도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3
더 언홀리
(The Unholy)
( - )
로튼토마토: 평단 29% / 관객 57%
메타스코어: 36
상영관 수: 2,057 (+207)
주말수익: $2,051,073 (-14.6%)
북미누적: $9,553,806
전세계누적: $10,001,623
제작비: $3,500,000
상영기간: 3주 (17일)
제프리 딘 모건 주연의 공포영화 <더 언홀리>가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3위를 지켰다. 전주대비 14.6%의 드롭률로 주말수익 205만 달러를 기록했고, 전세계누적은 1000만 달러를 돌파했다. 제작비 대비 2배 이상의 흥행 수익을 올리며 손익분기점을 돌파했다.
4
라야와 마지막 드래곤
(Raya and the Last Dragon)
( - )
로튼토마토: 평단 94% / 관객 88%
메타스코어: 75
상영관 수: 1,945 (+4)
주말수익: $1,921,979 (-12.7%)
북미누적: $37,696,589
전세계누적: $109,595,349
제작비: $100,000,000 ~
상영기간: 7주 (45일)
디즈니 애니메이션 <라야와 마지막 드래곤>가 순위변동 없이 4위를 지켰다. 전주 대비 12.7%의 준수한 드롭률로 주말수익 192만 달러를 벌었고, 북미누적은 3769만 달러를 기록했다. 전세계누적은 1억 959만 달러.
5
톰과 제리
(Tom and Jerry)
( ▲ 1 )
로튼토마토: 평단 31% / 관객 83%
메타스코어: 32
상영관 수: 2,028 (-52)
주말수익: $1,112,723 (-8%)
북미누적: $42,600,064
전세계누적: $101,400,064
제작비: $79,000,000
상영기간: 8주 (52일)
차트에서 꾸준히 사랑받고 있는 <톰과 제리>가 지난주보다 한 계단 올라선 5위를 기록했다. 주말 동안 111만 달러를 벌어 북미 누적 4260만 달러를 거뒀다. 이 같은 성적에 힘입어 전세계누적 1억 달러 고지를 드디어 돌파해 팬데믹 시대에 의미 있는 흥행을 이어가고 있다.
6
보이저스
(Voyagers)
( ▼ 1 )
로튼토마토: 평단 27% / 관객 52%
메타스코어: 44
상영관 수: 1,996 (+24)
주말수익: $779,317 (-43.5%)
북미누적: $2,547,991
전세계누적: $2,764,280
제작비: $29,000,000
상영기간: 2주 (10일)
<보이저스>가 지난주보다 한 계단 내려와 6위를 기록했다. 우성 인자로 태어난 30명의 탐사대원들이 지구를 대체할 행성을 찾으러 우주로 나간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전주 대비 43.5%가 떨어진 77만 달러의 주말 수익을 올렸다. 북미누적은 254만 달러, 전세계적으로는 276만 달러를 벌었다. 국내에서는 5월 26일 개봉 예정이다.
7
더 걸 후 빌리브스 인 미라클즈
(The Girl Who Believes in Miracles)
( - )
이미지 : Atlas Distribution Company
로튼토마토: 평단 N/A / 관객 94%
메타스코어: N/A
상영관 수: 1,012 (+112)
주말수익: $556,000 (-0.8%)
북미누적: $2,000,725
전세계누적: $2,000,725
제작비: N/A
상영기간: 3주 (17일)
신의 기적을 본 한 소녀의 이야기를 그린 <더 걸 후 빌리브스 인 미라클즈>가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7위를 기록했다. 전주보다 112개 늘어난 스크린으로 주말 동안 55만 달러를 기록하며 북미누적 200만 달러를 돌파했다.
8
인 더 어스
(In the Earth)
( NEW )
로튼토마토: 평단 76% / 관객 27%
메타스코어: 61
상영관 수: 547
주말수익: $505,723
북미누적: $505,723
전세계누적: $505,723
제작비: N/A
상영기간: 1주 (3일)
<기생충>의 북미 배급사로 유명한 네온의 신작이자 호러 영화인 <인 더 어스>가 8위를 기록했다. 주말 동안 약 50만 달러를 벌어들이며 이번 주 차트에 유일한 신작으로 이름으로 올렸다. 2021년 선댄스 영화제에서 처음 공개된 이 작품은 인류를 위협하는 바이러스에 대한 치료법을 찾고자 하는 과학자가 정찰대원과 함께 숲속에 가게 되면서 벌어지는 기이한 일을 담았다. 넷플릭스 영화 <레베카>의 벤 휘틀리가 연출을 맡았고, <예스터데이>의 조엘 프라이, <나 다니엘 블레이크>의 헤일리 스콰이어가 출연해 이야기를 이끌어간다.
9
더 스파이
(The Courier)
( ▼ 1 )
로튼토마토: 평단 87% / 관객 95%
메타스코어: 64
상영관 수: 923 (-84)
주말수익: $440,005 (+0.6%)
북미누적: $5,525,906
전세계누적: $8,348,218
제작비: N/A
상영기간: 5주 (31일)
첩보 스릴러 <더 스파이>가 지난주보다 한 계단 내려온 9위를 기록했다. 주말 성적은 약 44만 달러, 전세계누적은 834만 달러를 돌파했다. 영화는 다음주 (4월 28일) 한국 관객과 만나게 되는데 북미뿐 아니라 국내 박스오피스에서도 어떤 성적을 거둘지 궁금하다.
10
크루즈 패밀리: 뉴 에이지
(The Croods: A New Age)
( - )
로튼토마토: 평단 77% / 관객 94%
메타스코어: 56
상영관 수: 1,169 (+30)
주말수익: $304,825 (+25%)
북미누적: $57,083,173
전세계누적: $163,211,173
제작비: $65,000,000
상영기간: 21주 (145일)
상영 145일째를 맞이한 <크루즈 패밀리: 뉴 에이지>가 여전히 10위권에 머무르며 롱런의 힘을 보여줬다. 지난주보다 25% 늘어난 수익으로 순위로 주말 동안 약 30만 달러를 벌어들였고, 전세계누적은 1억 6321만 달러를 돌파했다. 5월 5일 국내 개봉 예정.
에그테일 에디터 흥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