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최초, <오징어게임> 이유미 에미상 먼저 거머쥐다

넷플릭스가 게재한 수상 축하 이미지

<오징어게임>이 제74회 에미상의 포문부터 수상 소식을 알렸다. 지난 3일 열린 크리에이티브 아츠 프라임타임 에미상 시상식에서 배우 이유미가 에미상 게스트 여성 배우 부문을 수상했다. <오징어게임>에서 냉소적이고 현실적인 캐릭터 지영 역을 맡아 열연을 펼친 이유미는 이번 상으로 에미상을 수상한 최초의 한국인 배우로 기록됐다. 이날 이유미 외에도 채경선 미술감독(프로덕션 디자인), 정재훈 특수효과 감독과 김혜진 PD(특수 효과), 임태훈 무술감독(스턴트 퍼포먼스)이 수상에 성공했다.

<오징어게임>은 74회 에미상에 총 14개 부문에서 노미네이트됐다. 4일 진행한 크리에이티브 아츠 시상식 이후 12일 진행되는 프라임타임 에미상 시상식에서도 최고의 드라마 시리즈 부문 작품상·감독상(황동혁)·각본상(황동혁)·남우주연상(이정재)·남우조연상(박해수, 오영수)·여우조연상(정호연) 등이 다른 후보들과 겨룰 예정이다.


정상화 선언한 대종상이 선택한 올해의 진행자

대종상 영화제

국민들 품으로 돌아올 대종상이 연말 개최를 목표로 크게 한 걸음씩 내딛고 있다. 대종상 영화제는 7월 27일 대종상 정상화 범영화인 추진위원회 발족식을 시작으로 큰 그림을 하나씩 공개하고 있다. 일반 관객을 포함한 '국민 심사단'을 꾸려 공정성을 높이려는 방향성을 밝히기도 했다.

대종상은 이번 시상식에서 새로운 변화를 보여주고자 진행자 선정 또한 심혈을 기울였다. 대종상 영화제 김우정 총감독은 올해 대종상 콘셉트 '국민'에 맞춰 사회자의 콘셉트를 '저널리즘'으로 잡았다고 밝혔다. 그에 따라 올해 진행자는 팝 칼럼니스트 겸 방송인 김태훈으로 발탁했다. 김태훈은 과거 이동진 평론가와 함께 대중에게 영화를 소개하는 <영화는 수다다> 프로그램으로 관객들을 만난 바 있으며 현재 라디오 <김태훈의 프리웨이> DJ로 활동하고 있다. 김태훈은 대종상 진행자로 발탁된 것에 대해 “영화는 세상에 전하는 메시지고 삶의 위로이며 고된 일상에 펼쳐지는 작은 기적”이라며 “그런 영화가 쏟아지는 마법 같은 밤에 모두가 행복한 기억을 남길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김태훈의 프리웨이> 진행자 김태훈이 대종상 영화제 진행자로 발탁됐다.

대종상 영화제는 김태훈과 함께 시상식 진행을 맡을 여성 진행자를 고심 중이라고 덧붙였다. 대종상 영화제는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영화제였으나 기존 주최 측의 이권 다툼과 코로나19로 잠정적으로 휴식기를 가질 수밖에 없었다. 법정 싸움 끝에 대종상 개최 권한을 인정받은 한국영화인총연합회는 여러 방면으로 대종상 정상화 의지를 내비치고 있다. 영화인들의 마음이 국민들에게 전해져 대종상이 다시 국민의 사랑을 받는 대표 영화제로 자리매김할지 연말 개최될 시상식에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액션 장인과 게임 장인의 만남? 정병길과 코지마 히데오 조우 예고

<카터>

정병길 감독(왼쪽), 코지마 히데오

넷플릭스 오리지널 <카터>를 공개한 정병길 감독이 게임 개발자 코지마 히데오와의 만남을 시사했다. 정병길 감독은 <내가 살인범이다>, <악녀>, <카터> 등을 연출하며 전 세계에서 액션 스페셜리스트로 이름을 알렸다. 이번 <카터>를 공개한 이후 그는 코지마 히데오에게 '같이 영화를 하고 싶다'는 메시지를 받고 조만간 화상으로나마 만남을 가진다고 밝혔다.

코지마 히데오는 <메탈기어 솔리드> 시리즈, <데스 스트랜딩>을 제작한 게임 개발자로 영화광으로 유명하다. 본래 영화감독을 꿈꿨던 만큼 자신이 개발하는 게임에 영화적 요소를 활용하는 것으로 유명해 게이머들 사이에서 '영화보다 더 영화 같은 연출'을 한다고 평가받기도 했다. 특히 박찬욱 감독이 "내가 만난 세 명의 천재 중 한 명"이라고 언급해 영화 팬들 사이에서도 이름을 알렸다. 히데오는 <카터>를 보고 "기존의 카메라 개념을 파괴하는 21세기형 롱테이크"라고 후기를 남겼다.

그동안 꾸준히 영화 사랑을 드러낸 코지마 히데오였기에 영화계 진출은 시간 문제라는 분위기였으나, 액션 감각이 뛰어난 정병길 감독과의 조우는 팬들조차 쉽게 예상하지 못한 상황. 때문에 두 사람의 만남에서 어떤 이야기가 오갈지, 그리고 어떤 식으로 협업을 하게 될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


OTT 서비스, 자율심의제로 한 단계 더 날아오를까

한국OTT협회의 개정안 통과 입장문

2023년 4월부터 OTT 콘텐츠가 더 이상 사전심의를 거치지 않고 자율심의로 서비스할 수 있게 됐다. 9월 6일 국회 본회의에서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통과됐다. 이번 개정안은 OTT 사업자가 자체 등급 분류 사업자로 지정될 경우, 서비스 예정인 온라인 비디오물의 등급을 자율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부분이 포함됐다. 그동안 반드시 영상등급위원회의 심의 과정을 거쳐야 하는 사전심의제는 글로벌 동시 개봉이나 매주 공개해야 하는 시리즈물의 발목을 잡는다는 반응이 있었다. 개정안 통과 6개월 후부터 자율심의제가 시행된다면 OTT 업체는 자체 등급 분류를 통해 원하는 일정에 콘텐츠를 공개하기가 수월해질 것이다. 만일 공개한 콘텐츠의 등급이 적합하지 않다고 영등위가 사후 판단할 시 OTT 업체에 부여된 자체 등급 분류 사업자 지정을 취소하거나 6개월 이내의 업무 정지를 명해 자율등급의 자율성을 어느 정도 규제할 장치도 개정안에 포함됐다. 한국OTT협의회(왓챠,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콘텐츠웨이브, 쿠팡플레이, 티빙)는 개정안 통과에 "국회의 관심과 노력에 감사와 응원의 박수를 보낸다"고 반기면서도 자체 등급 분류 사업자가 지정제로 도입된다는 것에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영원한 배우 강수연, 추모 홈페이지 열려

강수연 추모 사이트 갈무리

지난 5월, 뇌출혈로 세상을 떠난 배우 강수연을 추모하는 홈페이지가 개설됐다. 추모 홈페이지는 강수연의 프로필을 비롯해 출연작, 수상 내역, 유년기 시절부터 전성기 시절의 사진을 모은 갤러리까지 총 4개의 항목으로 구성됐다. 또 오는 11월 열리는 제17회 런던한국영화제는 강수연의 출연작들이 상영하며 고인의 추모하는 섹션을 준비했다고 밝혔다. 강수연은 2013년 <주리>를 마지막으로 장기간 휴식기를 가졌다가 넷플릭스 오리지널 <정이>로 연예계에 복귀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끝내 뇌출혈로 세상을 떠나 더욱 안타까움을 샀다. 그나마 <정이> 촬영을 모두 끝마쳤다는 것이 영화계의 위안이라면 위안이었다. 복귀작에서 유작이 된 영화 <정이>는 2023년 공개 예정이다.


씨네플레이 성찬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