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 <교섭>(2023)의 스포일러를 담고 있습니다.
실화 베이스의 이야기
서두에 스포일러를 경고를 했지만, 민망할 정도로 다 아는 사건을 영화화했으니 그 결과를 다들 알고 있을 것이다. 물론 그 사건의 결과보다 더 떠들썩하게 대두됐던 것은 실제 아프가니스탄으로 떠난 선교인단의 목적과 태도였지만 말이다.
깔끔한 장르 영화
2007년, 이슬람 기반의 테러조직 탈레반이 판치고 있는 국가 아프가니스탄에 한국의 기독교인들이 방문한다. 탈레반은 그들을 납치하고 조건을 요구한다. 이에 외교관 재호(황정민)와 국정원 대식(현빈)이 투입된다. 두 콤비는 너무나 다른 성향을 띠고 있지만 티격태격하며 한 목적을 수행하며, 점진적인 성공을 하는 가운데 결국 원점으로 돌아가는 고생을 한다. 그리고 결국 이 사태를 해결하는 데에는 외교적 금기인 직접 교섭만 남았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두 캐릭터의 대립을 통해 기존의 가치와 이념을 고수한 명분을 따를지, 아니면 변하는 상황에 따라 개인과 국가의 실속에 저변한 선택을 할지 생각할 거리를 찾아볼 수 있다. 장르 영화에서 이 정도면 아주 말끔하다. 그러나 <교섭>의 장점과 단점은 그 성분이 비슷하다. 깔끔하게, 정말로 '교섭'만 한다는 것이다.
실제 사건
2007년의 실제 사건을 찾아보면 선교인단이 움직인 흔적에 한숨만 푹푹 나온다. 여론 중에는 이역만리 땅에서 죽음을 맞이하라는 사람도 있었고, 절대 세금으로 저들을 구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하는 이들도 있었다. 결국 대한민국 정부가 테러 단체와의 직접 대면접촉을 함으로써 국가의 이미지는 실추됐다. 뿐만 아니라 피랍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6자 회담을 함으로써 남북 정상회담 등 현안에 대한 외교적 역량 집중에 실패해 외교력을 소모했다. 그리고 예정된 일이긴 했지만 테러범들의 요구조건이었던 아프간 파견부대를 조기 철군하면서 한미 군사동맹의 신뢰가 저하됐다. 게다가 정부가 나서 협상한 선례로 세계 도처에서 한국인 납치 사례 빈발 가능성이 생기면서 해외여행에 있어 국민의 안전이 저해됐다. 국제구호단체의 분쟁지역 또는 빈민국에서의 인도적 봉사활동이 축소됨으로써 민간의 외교 채널이 위축되기도 했다. 실제로 기독교를 비하하는 단어인 '개독'이라는 워딩이 이때 탄생했다.
베드로서 3장에 이르길, 너희 속에 있는 소망에 관한 이유를 묻는 자에게는 대답하는 것에 관하여 항상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고 했다. 그래서 물어보자, 진짜 왜 그랬어요?
허나 이런 것들은 영화에서 전연 언급되지 않는다. 논란의 중심에서 영화는 안전을 택한 것이다. 그렇게 장르적인 요소만을 끌어오기로 결정한 <교섭>은 흥행했을까? 350만 명을 손익 분기점으로 잡고 있지만, 개봉 5주차인 지금 171만이라는 아쉬운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관객이 쉬운 선택의 본질을 간파한 것일지도 모르겠다.
실화 블록버스터 영화에서 바라는 것
우리는 실화를 기반으로 한 영화, 혹은 마치 실제와 같은 이야기에서 무엇을 기대할까? 영화의 3요소가 제작 - 배급 - 상영임을 상기하면 답을 쉬이 찾을 수 있다. 그것은 다양성을 지니면서도 공감을 유지한다는 측면도 있지만, 무엇보다 하나의 현상에 관하여 여러 가지 담론을 활성화할 수 있는 굴절적 파급효과 또한 무시하지 못할 것이다. 대형 자본을 이용해서 영화가 만들어진다는 것은 대형 배급을 탄다는 것이고, 그것은 비슷한 개봉 시기의 영화들에 비해 관객과 만날 기회가 더 많다는 뜻이기도 하다. 다양한 의견이 만들어지고, 거기에 호기심이나 흥미를 느낀 관객이 입소문을 더 내 줄 요소가 많았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그렇기에 논란적 소재를 끌어와놓고 거기서 그런 요소만 쏘옥 빼놓고 진행한다는 건 의미가 없는 것처럼 느껴진다. 과장하자면 아직 그 사건을 기억하는 관객들은 자신이 무시당한다는 인상을 받을지도 모를 일이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큰 자본에는 큰 책임이 따르듯, 이 큰 영화에는 많은 수의 사공들이 각자 훈수를 두었을 것이다. 그리하여 얼마 되지 않은 과거에서 일어난, 과오의 핵심에 가까운 부분은 언급을 하지 않는 것이 흥행에 도움이 된다고 의견을 냈을 것이다. 게다가 기독교는 국내에서 가장 거대한 종교가 아닌가.
거대한 예산 앞에서 작가로서의 감독은 그 목소리를 내기는 쉽지 않았으리라 어렵지 않게 예상할 수 있다. <교섭>을 홍보하는 문구 중 하나는 100억 이상의 고예산으로 블록버스터를 만든 첫 여성감독의 영화라는 것이었다. 이는 데뷔 29년 차 베테랑 연출자에게 마땅히 주어질 수 있는 기회지만, 여성이라는 입장에서 이런 환경의 영화를 제작하는 기회를 획득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를 알려주는 바로미터가 되기도 한다. 그러니 이런 최초의 사례에서 연출자가 자신만의 목소리를 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으리라 짐작된다. 영화에서 카심(강기영)은 논란을 기억하는 관객에게 목소리라도 빌려주듯, “왜 오지 말라는 곳에 와가지고 왜 이 고생을 시키나!” 하는 대사를 한다. 그러나 극중 주요 인물들 중 가장 가벼운 인물의 목소리를 빌렸다는 점에서 그것은 담론이 되는 기회조차 가지지 못한다. 만약, 이런 목소리를 지니고 있는 인물이 두 주요 캐릭터 중 하나였다면, 이야기의 방향 자체가 달라졌을 것이다. 애당초 그런 대본이었다면 대형 자본이 아예 붙지를 않았을까? 과거에 만약이란 없지만 요즘의 행태가 너무 안전을 향해가는 건 분명 안타까운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호는 이윽고 모든 인질을 구하는데 성공한다. 그러나 탈레반은 한 명의 사람이 남아야 한다고 요구한다. 현장에는 잠시 정적이 흐른다. 결국 대식이 남기로 한다. 그리고 대식이 가기 전 정적 속에 잡히는 장면은 무사히 풀려나 트럭에 위치한 피랍 한국인들의 단체 쇼트였다. 그들은 교섭인단을 쳐다보며, 얼른 집에 가자고 표정으로 보채고 있다. 그네들을 위해 활약한 사람이 역으로 잡혀가게 생겼는데 나 몰라라 하는 것이다. 이 장면은 대호의 시점 쇼트로 찍혀 상황의 공허함이 강조된다. 그렇게 귀국한 인질들의 가족들은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하기도 헀다. 상황이 여기까지 왔으면 좀 책임감이라도 느껴야 하지 않겠니? 라고 넌지시 물어보는 연출자만의 질문인 것이다.
연출자 임순례 감독의 데뷔작이었던 <세 친구>(1996)나 두 번째 작품이었던 <와이키키 브라더스>(2001)는 너무 실제 같아서 제발 이것이 허구이기를 간절히 바랄 정도로 리얼리티를 넘어선 먹먹한 지점이 존재했다. 그리고 실화를 베이스로 한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2007), <제보자>(2014)는 다정하면서도 서늘한 시선을 선보이며 한국 사회에 대한 첨예하고도 부드러운 묘사가 돋보였다. <교섭>의 아쉬운 측면에도 한국 영화의 한 축을 담당했던 임순례 감독의 다음 영화가 기다려지는 이유다.
프리랜서 막노동꾼 이정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