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정 <씨네21> 기자
나쁜 놈, 덜 나쁜 놈, 더 나쁜 놈
★★★☆
대한민국을 움직이는 정치판의 생리를, 긴박한 선거전에 압축한다. 변종구의 일그러진 야망과, 그에 상응하는 군상들의 각축전이 코믹함과 씁쓸함을 동시에 안겨준다. 난장의 상황 속, 과장하지 않은 연기를 선보인 배우들의 앙상블이 주는 집중도가 크다.
송경원 <씨네21> 기자
정치인이라는 이상하고 흥미로운 생물
★★★
대선을 앞둔 타이밍, 정치와 권력이라는 소재, 연기 잘하는 배우들을 섞으면 예상 가능한 그림이 있다. 대체로 예상을 벗어나지 않는다는 게 <특별시민>의 성취이자 한계다. 캐릭터 드라마로 보면 말이 되는 이야기라는 점에서 끌리고, 정치-선거의 장르영화로 보면 지나치게 도식적이고 안전한 길을 답습한다. 권력을 향한 캐릭터들의 디테일이 살아있다는 게 강점인 반면 전체적인 톤이 불균질 하다는 게 어정쩡하다. 아쉽다. 아쉽다는 건 좋았던 부분도 확실히 존재한다는 뜻이다. 기획영화의 한계와 감독의 고집, 그 중간 어딘가를 떠도는 영화.
김형석 영화 저널리스트
정치의 민낯
★★★
전혀 예상치 못했겠지만, 현재 갑작스레 찾아온 대선 정국에 안성맞춤이 되어버렸다. 처음엔 리얼리즘에 입각한 드라마처럼 시작하지만 중반 이후 범죄 스릴러 장르로 접어든다. 그 과정에 다소 갑작스럽긴 하지만 배우들의 연기가 그 틈새를 봉합한다.
이은선 영화 저널리스트
조금은 아쉬운 정치인 욕망 탐구 보고서
★★★
권력을 향한 열망을 먹고 자란 괴물들이 사는 정치라는 정글. 그중에서도 “똥물에서 진주 꺼내는” 선거판을 무대로 고른 전략을 눈여겨볼 만하다. 다만 현실 정치를 향한 고발과 각성이 최우선의 목적인 영화는 아니다. 적나라한 현실 반영의 결과물이라기보다 영화 스스로 창조해낸 정치인 캐릭터의 면면을 관찰하는 세밀한 인물탐구에 가깝다. 그렇기 때문에 주인공 변종구의 약점이 그의 발목을 잡는 후반으로 갈수록 각 캐릭터의 개성이 함몰되고, 예상 가능한 전개로 흐른다는 점이 더욱 아쉽게 느껴진다. 충분히 더 좋은 정치 드라마가 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