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은 즐겁다>
아이들은 즐겁다

감독 이지원

출연 이경훈, 박예찬, 홍정민, 박시완, 옥예린, 이상희, 윤경호, 공민정

개봉 2021.05.05.

상세보기

<아이들은 즐겁다>에 대한 반응이 뜨겁다. 관객수가 아주 많아서 박스오피스 1위를 하고 있다는 의미는 아니다. 영화에 대한 평가가 좋다는 의미다. 손수건이 필수인 이 영화는 웹툰이 원작이다. 네이버 웹툰에서 2013년부터 2014년까지 연재됐다. 허5파6라는 필명을 쓰는 작가의 작품이다. <아이들은 즐겁다>의 뜨거운 반응을 보면서 비슷한 분위기의 다른 웹툰 기반의 드라마, 영화들을 떠올려봤다. 또 아직 영화나 드라마가 되기 전의 웹툰은 뭐가 있을지 꼽아봤다. <아이들은 즐겁다>처럼 소소하고 잔잔한면서 가슴뭉쿨한 이야기라는 공통점으로 묶인 영화, 드라마, 웹툰 등을 소개한다.


<여중생 A>

<여중생 A>
<여중생 A>는 <아이들은 즐겁다>처럼 허5파6의 웹툰이 원작인 영화다. 웹툰의 연재 순서는 영화 개봉 순서와 반대다. <아이들은 즐겁다> 이후 <여중생A>가 연재됐다. <아이들은 즐겁다>의 주인공 다이가 초등학생이고, <여중생A>은 제목처럼 주인공 미래가 중학생이다. 웹툰 팬들은 <여중생A>의 연재가 시작됐을 때 중학생이 된 다이의 이야기처럼 받아들이기도 했다. <여중생 A>의 주인공 미래 역시 다이와 비슷한 성격이어서 더 그랬다. 미래는 온라인 게임에 빠져 있는 외톨이처럼 보이지만 섬세한 내면을 가진 글쓰기에 재능이 있는 아이다. 김환희가 미래 역을 맡았다. <곡성>으로 유명해진 배우다. 미래의 상대역으로 등장하는 재희는 수호가 연기했다. 아이돌 그룹 엑소 출신이다. 흥행을 위한 캐스팅인 듯하다. 안타깝게도 영화의 평가는 썩 좋지 않다. 허5파6의 원작과는 꽤 많은 부분이 달라져서 원작 팬들은 아쉬움을 표했다. <아이들은 즐겁다>를 통해 허5파6 작가의 작품을 처음 접했다면 <여중생 A> 웹툰도 찾아보면 좋겠다.

여중생A

감독 이경섭

출연 김환희, 수호

개봉 2018.06.20.

상세보기

<식물생활>

<식물생활>
<식물생활>은 <아이들은 즐겁다>처럼 슬픈 이야기는 아니다. 소소한 이야기에 방점이 찍힌 웹드라마다. 원작은 안난초 작가의 동명 웹툰이다. 드라마의 주인공은 웹툰 작가 지망생 하나(윤혜리)다. 그는 반지하방에서 옥탑방으로 이사했다. 이사를 결정한 이유는 옥상은 해가 잘 들어 식물을 키우기 좋은 환경이라는 점이다. 드라마는 원작 웹툰과 비슷하면서도 다른 구성을 보여준다. 웹툰은 옴니버스식으로 여러 사람들의 식물 사연을 들려줬다. 드라마는 원작에 등장한 한 사람을 주인공으로 삼아 에피소드 형식을 취했다. 웹툰은 담담한 분위기이고, 영화는 발랄한 분위기라는 점이 다르다. 웹툰이 <아이들은 즐겁다>의 감성과 그나마 가까운 편이다. <식물생활>의 감독 백승화를 기억하는 관객이라면 드라마의 분위기가 낯설지 않을 것이다. 백승화 감독은 <반드시 크게 들을 것>, <걷기왕>, <오목소녀> 등을 연출한 바 있다. 동물에 비해 식물에 대한 이야기는 많이 만들어지지 않은 듯하다. 그런 점에서 <식물생활>은 식물에 이제 막 관심이 생기기 시작한 사람들에게 꽤 볼 만한 작품이다. 

식물생활

감독 백승화

출연 윤혜리, 권은수, 장햇살

개봉 미개봉

상세보기

<나빌레라>

<나빌레라>
분명 <아이들은 즐겁다>를 본 관객보다 <나빌레라>를 본 시청자가 더 많을 것 같다. 그러니까 사실 이 포스트의 글의 방향과는 반대인 상황이다. <나빌레라>를 보며 울었던 시청자라면 <아이들은 즐겁다>도 취향이 맞지 않을까 싶다. <나빌레라>는 웹툰에서 시작해 먼저 뮤지컬로 만들어졌고 드라마로도 제작된 작품이다. 드라마는 박인환이 주인공 심덕출을 연기했다. 70세의 나이에 발레를 배우려는 할아버지의 선생님은 송강이 연기한 23세 무용원 휴학생 이채록이다. 2016년부터 2021년까지 총 4부에 걸쳐 연재된 원작 <나빌레라>의 명성은 뮤지컬, 드라마까지 이어지고 있다. 원작의 감성을 제대로 살리지 못했던 2차 창작물이 은근히 많은 점을 생각해보면 드라마 <나빌레라>에게 아낌 없는 박수를 보내도 될 듯하다. 시청자들은 특히 박인환의 연기가 눈에 칭찬을 아끼지 않는다. 드라마 <나빌레라>는 탄탄한 원작과 이를 충실히 연기해낸 배우의 힘이 뛰어난 작품이다.

나빌레라

연출 한동화

출연 박인환, 송강, 나문희, 홍승희, 김태훈, 윤지혜, 정해균, 김수진, 정희태, 조복래, 신은정, 조성하, 김현목, 이소영, 임사랑, 김권, 용기

방송 2021, tvN

상세보기

<아 지갑 놓고 나왔다>

<아 지갑 놓고 나왔다>
필명 미역의 효능 작가의 웹툰 <아 지갑 놓고 나왔다>는 아직 드라마나 영화로 만들어진다는 소식이 없다. 이 작품의 영화화 혹은 드라마화는 수많은 독자들이 바라는 바이면서 동시에 우려하는 바일 수 있다. 특유의 소박한 그림체로 만들어낸 감성이 스크린이나 TV 화면에서 어떻게 보여질지 선뜻 상상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아 지갑 놓고 나왔다>는 교통사고로 죽은 9살 딸 노루와 홀로 남은 미혼모 노선희의 이야기다. 앞서 소개한 작품들에 비하면 이 작품은 가슴뭉쿨 정도가 아닌 눈물 펑펑 수준이다. 어려서 성폭행을 당한 선희의 눈에는 사람들의 얼굴이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사람이 아니라 조류, 즉 새의 형상으로 보이는 정신질환을 겪는다. 다만 노루는 사람으로 보였다. 지극히 어른스러운 아이 노루는 죽어서도 엄마를 챙긴다. 엄마의 딸로 다시 태어나기 위해 노력하기도 한다. <아 지갑 놓고 나왔다>는 슬픈 웹툰 추천 목록에서 늘 가장 상위에 있는 작품이다. 이 작품이 드라마나 영화나 나오게 되면 어떨지 몹시 궁금하긴 하다.


<죽음에 관하여>

<죽음에 관하여>
<죽음에 관하여>는 가슴뭉쿨하게 눈물 쏙 빼는 웹툰 계통에서 가장 유명한 작품 가운데 하나다. 빠지면 섭섭할 지경이다. 2012년부터 2013년까지 연재됐으며, 워낙 유명한 탓에 2018년에 재연재가 된 적 있다. 시니와 혀노 작가가 각각 스토리와 작화를 담당했다. 이렇게 널리 알려진 작품이지만 아직 영화화 등에 대해 알려진 바가 없다. <죽음에 관하여>는 어떤 관점에서 보면 주호민 작가의 웹툰 <신과 함께>와 비슷한 이야기라고 볼 수 있다. 죽음 이후에 이승의 삶을 돌아보는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다만 2편으로 제작돼 모두 천만 관객을 기록한 <신과 함께>와 달리 <죽음에 관하여>가 영화로 만들어지기 어려운 점은 옴니버스 형식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죽음에 관하여>에는 주인공이라고 내세울 인물로 (류승범과 외모가 비슷한) 절대자, 신(神)이 있긴 하다. 신을 중심으로 한 옴니버스식의 이야기 구조를 그대로 이어받는다면 영화보다 드라마 쪽이 각색하기에 수월해 보인다.


씨네플레이 신두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