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기사 카테고리

Movie & Entertainment Magazine from KOREA
>엔터

이자람, 5년 만의 신작 판소리 〈눈, 눈, 눈〉…우리 소리로 러시아 설원을 그리다

데일리뉴스팀
이자람 판소리 공연 〈눈, 눈, 눈〉 [LG아트센터 서울 제공]
이자람 판소리 공연 〈눈, 눈, 눈〉 [LG아트센터 서울 제공]

이자람의 판소리 신작 〈눈, 눈, 눈〉이 지난 7일 LG아트센터 서울에서 초연됐다. 단 두 명의 연행자가 만들어낸 이 무대는 첨단 기술의 도움 없이도 관객들을 19세기 러시아 설원으로 생생하게 인도했다.

한국의 대표 소리꾼 이자람이 5년 만에 선보인 이번 작품은 러시아 문학의 거장 톨스토이의 단편 소설 「주인과 하인」을 재창작한 것이다. 공연에 앞서 이자람은 프랑스 지인의 추천으로 이 소설을 접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이자람 판소리 공연 〈눈, 눈, 눈〉 [LG아트센터 서울 제공]
이자람 판소리 공연 〈눈, 눈, 눈〉 [LG아트센터 서울 제공]

작품의 줄거리는 간결하다. 1879년 러시아 겨울, 상인 바실리가 자식에게 물려줄 숲을 사기 위해 일꾼 니키타와 종마 제티를 데리고 여정을 떠난다. 그러나 혹독한 눈보라가 그들의 앞길을 가로막으며 하룻밤 사이 벌어지는 생존의 드라마가 펼쳐진다. 작품 제목 〈눈, 눈, 눈〉은 이야기의 핵심 요소를 직접적으로 드러낸다.

단순한 서사는 이자람의 탁월한 연기력을 통해 입체적인 이야기로 변모했다. 그는 바실리, 그의 아내 아나스타샤, 니키타까지 다양한 인물을 오가는 일인다역을 선보였다. 심지어 종마 제티의 모습까지 "히잉"하는 울음소리와 함께 생생하게 재현해냈다. 소설 속 인물들은 이자람의 목소리와 섬세한 몸짓을 통해 무대 위에 실재하는 존재로 살아났다.

이자람 판소리 공연 〈눈, 눈, 눈〉 [LG아트센터 서울 제공]
이자람 판소리 공연 〈눈, 눈, 눈〉 [LG아트센터 서울 제공]

무대 연출 또한 관객의 몰입을 돕는 요소였다. 눈보라를 표현하는 관객들의 목소리와 조명, 연기 효과가 더해져 극장은 순식간에 19세기 러시아의 설원으로 변모했다.

고수 이준형의 북소리는 이자람의 소리에 생명력을 불어넣었다. 그는 극중 상황에 맞춰 다양한 소리를 들려준다. "한참 간다"는 대목에서는 길게 음절을 늘이고, "멈춘다"는 대목에서는 짧게 끊어내는 표현으로 이야기의 긴박함을 효과적으로 전달했다. 이러한 음악적 표현은 관객들이 등장인물들의 위기와 희망을 함께 느끼게 만들었다.

이자람 판소리 공연 〈눈, 눈, 눈〉 [LG아트센터 서울 제공]
이자람 판소리 공연 〈눈, 눈, 눈〉 [LG아트센터 서울 제공]

외국 소설을 원작으로 삼았음에도 판소리 특유의 해학은 여전했다. "술 먹으면 괴물이 되는" 니키타가 술의 유혹에 시달리는 장면은 관객들의 웃음을 자아냈다. 이자람은 관객의 부담을 덜기 위해 현재와 거리가 있는 시대의 외국 소설을 선택한다고 설명했지만, 그의 소리를 통해 작품은 한국적 정서가 깃든 '우리의 것'으로 재탄생했다.

이자람은 공연 프로그램북 '작가의 글'에서 "창작을 합니다만 전통을 하고 있다"며 "이것이 제가 판소리를 사랑하는 방법"이라고 밝혔다.

〈눈, 눈, 눈〉공연은 오는 13일까지 LG아트센터 서울에서 계속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