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학개론>(2012)의 이제훈, <카트>(2014)의 도경수 등으로 이어지는 ‘명필름의 남자들’ 계보에 가장 어울리지 않는 수식어는 아마 ‘마초’일 것이다. 명필름과 조이래빗이 공동 제작한 <나의 특별한 형제>에서 어린 세하(신하균)로 분한 안지호는 이들의 16살 시절 같은 배우다. 실제로 <카트>의 최철웅 캐스팅 디렉터가 그의 매력을 발견했다. 아직 못 본 <어벤져스: 엔드게임>의 스포일러를 당했을 때 화가 난 게 아니라 “눈물이 핑 돌았”고, VIP 시사회 뒤풀이에서 악수를 청한 조인성 선배가 너무 멋있다며, “심장이 뛰고 손을 씻어야 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했다”고 벅찬 얼굴로 말하는, 말간 소년을 만났다.
세하는 지체장애를 가진 캐릭터다. 어떻게 오디션과 촬영을 준비했나.
의자에 앉아 힘을 풀고 눈빛과 표정으로만 연기하는 훈련을 했다. 화가 나거나 슬프면 무의식중에 몸을 움직여서 연기하기 너무 어려웠다. 지적장애인 동구(이광수)의 어린 시절을 연기한 (김)현빈이랑 대사 연습을 할 때마다 서로 이상한 점을 얘기해주곤 했는데, 영화 내용처럼 다른 고민을 하는 둘이 함께해서 도움받은 부분이 많았다.
<나의 특별한 형제>를 통해 배운 게 있다면.
주변에 장애인의 행동을 따라하는 아이들이 있는데 보기 좋지 않다. 국어 중간고사 시험 범위에 세하처럼 신체장애가 있는 장영희 작가님이 쓴 <킹콩의 눈>이라는 수필이 있는데, 영화 덕분에 느껴지는 바가 많았다.
수줍음이 많은 것 같다. 영화 연기를 잘하는 것과 별개로 처음에 어떻게 배우가 될 생각을 했는지 궁금하다.
초등학생 때 전교 부회장 선거에 나갈 준비를 하는데 연기학원에 리더십 프로그램이 있다고 해서 등록했다. 그런데 연기 수업도 같이 하더라. 처음에는 당황했는데 막상 해보니 너무 재미있었다. 그렇게 여기까지 오게 됐다.
결국 전교 부회장도 회장도 됐는데, 이런 감투를 쓰려면 공부를 잘하거나 인기가 많아야 한다. (웃음)
어…. (고민하다가 조심스럽게) 중학교와 달리 초등학교는 축구만 좀 잘해도 선거에서 유리하다. 내가 축구를 좋아하니까 애들이 뽑아준 거 같다. 지금도 축구를 좋아한다. 치아교정을 시작하고 작품을 잠깐 쉬면서 중학교 축구부부터 들어갔다. 포지션은 윙이고, 좋아하는 선수는 네이마르다.
지난해 부산국제영화제 화제작인 <보희와 녹양>은 기존 성역할을 뒤집은 소년, 소녀 캐릭터를 보여준다. 안주영 감독에 의하면 보희 캐릭터와 평소 모습이 똑같다고.
내가 옥수수를 먹을 때 녹양 역의 김주아가 돼지라고 놀리기에 “너는 멧돼지 같다”는 말로 복수했다. 이런 식으로 정말 별것 아닌 걸로 싸웠다가 화해하곤 했다. 평소에도 친구들한테 장난도 많이하고 개그도 잘 친다. 친해지면 말이 많아진다.
앞으로 어떤 배우가 되고 싶나.
인성이 훌륭한 배우가 되고 싶다. 할아버지랑 같이 사는데 ‘사람은 착해야 한다’고 가르쳐주셨다. 그래서 욕을 안 하려고 한다. 초등학교 1학년 때 나쁜 말인지 모르고 한번 쓴 거 말고는 지금껏 한번도 욕을 한 적 없다. 게임할 때도 그냥 말 자체를 거의 안 하고, 정말 화가 나면 혼자 한숨을 쉰다. 욕을 하면 뭔가 사람이 멋이 없어지는 거 같다.
함께 작품을 하고픈 감독이 있나. 또 중학생이라 독서를 하라는 압박이 자주 들어올 텐데(웃음), 최근에 읽은 책이 있다면.
너무 말도 안 되는 대답 같긴 한데, 크리스토퍼 놀란…. (일동 폭소) 어렸을 때 책에서 읽었는데 CG를 거의 안 쓰고 <인터스텔라>(2014)의 옥수수밭도 직접 만들었다더라. 정말 대단하다. 최근에는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이 쓴 <영화를 찍으며 생각한 것>, <걷는 사람, 하정우> 그리고 <파리 대왕>을 완독했다.
씨네21 www.cine21.com
글 임수연·사진 최성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