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인의 사무라이>를 리메이크한 <황야의 7인>을 리메이크한 <매그니피센트 7>.
<매그니피센트 7>의 원작인 <황야의 7인>.

<매그니피센트 7>이 개봉했습니다. 이 영화는 어떤 장르의 영화일까요? 너무 쉬운 문제였습니다. 정답은 서부영화입니다. 서부극, 서부영화, 웨스턴 무비 등 용어는 조금씩 다르지만 하나의 장르를 지칭하는 말입니다. 이 글에서는 서부극이라는 말을 쓰도록 하겠습니다. 서부극이라는 장르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대략 생각나는 대로 서부극에 대한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미국 개척시대인 19세기 말, 미국의 황량한 사막이 있는 서부 지역에서 말을 타고 다니며 카우보이 모자를 쓴 방랑자가 한 술집에 들어갑니다. 그런데 알고 보니 이 남자는 엄청난 총잡이여서 마을의 악당을 물리치고 홀연히 사라집니다. 이런 영화가 바로 서부극입니다. 맞습니다. 그럼 여기서 이번주 ‘씨네피디아‘는 끝인가요? 그렇진 않겠죠. 서부극에 대해 조금만 더 알고 가도록 하겠습니다.

존 포드 감독의 <수색자>.

1. 서부극은 일종의 미국 사극이다
맞습니다. 미국이라는 국가의 역사는 매우 짧죠. 우리나라의 단군신화 같은 것도 당연히 없습니다. 그런 가운데 서부개척시대는 미국 건국의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미국의 신화나 전설을 결국 서부극이 대체할 수 있습니다. 미국의 영웅 역시 서부극에서 나올 수 있겠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대체로 서부극에는 전형적인 성격의 영웅들이 등장합니다. 정의로운 영웅은 대체로 보안관이나 지역의 판사였습니다. 영웅이 있으면 악당도 있겠죠. 강도나, 부도덕한 부자들, 원주민 등이 악당으로 등장했습니다.

존 포드의 <역마차>.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의 <장고: 분노의 추적자>. 흑인 노예 출신 총잡이가 등장한다.

2. 서부극은 인종차별적이다
서부극을 비판하는 내용은 대체로 세 가지입니다. 인종차별, 원주민 학살의 합리화, 성차별입니다. 인종차별 논란은 1번 항목과 관련이 있어 보입니다. 서부극의 주인공들은 대체로 백인입니다. 특히 아이리시 억양을 쓰는 사람이 많습니다. 감자대기근으로 미국으로 이민을 온 가난한 아일랜드인들은 미국땅(동부)에서 차별을 받았습니다. 결국 척박한 서부로 많이 떠났습니다. 남북전쟁에도 많이 참전했고 전쟁이 끝난 후 서부를 떠돌았다고 합니다. 아일랜드인의 미국 이민을 다룬 영화는 톰 크루즈 주연의 <파 앤드 어웨이>가 있으니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런 백인을 주로 영웅으로 그리다 보니 서부극의 인종차별 논란이 생겼습니다. 실제로 <장고: 분노의 추적자>의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은 서부극의 대표적인 감독인 존 포드의 영화를 싫어한다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존 포드의 서부극, 특히 <역마차> 같은 영화는 인디언이라고 불리는 원주민을 악당으로 묘사하기 때문에 이런 오해가 생긴 것 같습니다. 이에 영화평론가 켄트 존스는 “왜 쿠엔틴 타란티노는 영화의 역사를 가르치면 안되는가?”라는 제목의 글을 써서 타란티노를 비판하기도 했습니다. 존 포드의 영화는 인종차별과는 거리가 멀었습니다. 물론 서부극 전체를 보면 인종차별 논란을 피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최초의 서부극이라 불리는 <대열차강도>.
스파게티 웨스턴 장르의 영화 <황야의 무법자>.

3. 서부극은 미국에서만 만들어졌다?
서부극은 미국의 할리우드에서 공장처럼 찍어댄 장르의 영화입니다. 미국 영화의 역사라고 볼 수도 있을 정도로 많이 제작됐습니다. 코엔 형제의 최근작 <헤일, 시저!>에서 할리우드에서 제작되던 서부극의 모습을 볼 수 있을 겁니다.
최초의 서부극이라고 불리는 영화는 1903년 에디슨 스튜디오가 제작한 영화 <대열차강도>입니다. 서부극을 대표하는 감독들로는 존 포드, 하워드 혹스, 라울 월시, 앤서니 맨, 버드 보티커, 로버트 올드리치, 사무엘 풀러 등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배우로는 게리 쿠퍼, 존 웨인, 헨리 폰다, 제임스 스튜어트, 커크 더글러스 등을 꼽을 수 있겠습니다.
서부극은 이탈리아에서도 만들어졌습니다. 이를 스파게티 웨스턴 혹은 마카로니 웨스턴이라고 부릅니다. 1960년대 중반부터 1970년대 중반에 유행했던 서부극의 하위 장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가장 유명한 영화는 세르지오 레오네 감독, 클린트 이스트우드 주연, 엔리오 모리코네 음악의 <황야의 무법자>, <석양의 무법자> 등이 있습니다. 스파게티 웨스턴은 1번과 2번 항목에서 언급된 서부극의 전형성에서 벗어난 모습을 보였습니다. 선악이 뚜렷하지 않았으며 반영웅적인 주인공이 등장했습니다.

김지운 감독의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

한국에서도 서부극을 만들었습니다. 1960~70년대에 주로 제작됐는데요. 일제 강점기 만주가 배경이었습니다. 만주 웨스턴이라고도 부릅니다. 김지운 감독의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도 이 장르에 속한다고 할 수 있을 겁니다.

<스타워즈 에피소드 4: 새로운 희망>에 등장한 한 솔로. 전형적인 카우보이 캐릭터처럼 보인다.

4. 서부극은 끊임없이 변주된다
그렇습니다. 서부극이라는 장르는 많은 영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3번 항목에서 미국 할리우드의 역사가 곧 서부극이라고 할 수도 있을 거라는 얘기를 했습니다만, 서부극은 각종 영화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경우가 <스타워즈> 시리즈입니다. 한 솔로가 서부극의 카우보이 비슷한 캐릭터입니다. <스타워즈 에피소드 4: 새로운 희망>에서 한 솔로와 그리도의 총격 장면은 서부극의 한 장면이라고 해도 손색이 없어 보입니다. 서부극의 주인공은 보통 먼저 총를 쏘지 않지만요. <아바타> 역시 서부극 장르를 차용했다는 평가가 있습니다. 1981년에 제작된 <아웃랜드>라는 SF 영화도 서부극을 변주한 작품입니다. <저스티파이드>라는 미국 드라마는 현대판 서부극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서부극 그 자체가 꾸준히 제작되기도 합니다. 그 수가 많진 않지만요. 이 가운데 좋은 평가를 받은 작품들이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은 <장고: 분노의 추적자> 이후 <헤이트풀 8>으로 두 편 연속 서부극을 만들었습니다. 또 앞서 언급했던 코엔 형제 역시 <더 브레이브>라는 서부극을 연출했습니다. 앤드류 도미닉 감독의 <비겁한 로버트 포드의 제시 제임스 암살>도 좋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코엔 형제 감독의 <더 브레이브>.
앤드류 도미닉 감독의 <비겁한 로버트 포드의 제시 제임스 암살>.

쓰다 보니 길어졌습니다. 오늘 ‘씨네피디아‘에서는 서부극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마지막으로 어린 스티븐 스필버그에게 존 포드 감독이 해준 유명한 말을 전하며 마치겠습니다.

“네가 지평선을 프레임의 밑바닥이나 꼭대기에 걸치는 편이 프레임의 중간에 걸치는 것보다 낫다는 것을 깨닫는 날이 온다면, 언젠가 좋은 영화감독이 될 수 있을지도 모르지. 이제 썩 꺼져주게.” 
-어떻게 하면 훌륭한 감독이 될 수 있냐고 물었던 소년 스티븐 스필버그에게

씨네플레이 에디터 두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