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복 광고 모델로 데뷔, 아역 배우를 거친 박은빈 배우는 올해로 데뷔 30주년을 맞았다. 그는 연기에 정진해온 긴 시간 동안 사극, 로맨스, 스포츠물, 법정물까지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었다. 그의 30년은 다양한 장르와 인물을 소화하기 위한 노력으로 가득했다.
전쟁터에서 생명을 구했던 천재 의사가 국내 유명 대학병원 교수로 부임한다. 이 주인공은 넷플릭스 비영어권 TV쇼 시청 1위를 기록한 드라마 〈중증외상센터〉에서 활약하는 백강혁으로 소개된다. 드라마 〈중증외상센터〉의 원작 웹소설을 집필한 한산이가(본명 이낙준) 작가는 9일...
부부가 함께 영화를 봅니다. 멜로물을 보며 연애 시절을 떠올리고, 육아물을 보며 훗날을 걱정합니다. 공포물은 뜸했던 스킨십을 나누게 하는 좋은 핑곗거리이고, 액션물은 부부 싸움의 기술을 배울 수 있는 훌륭한 학습서입니다. 똑같은 영화를 봐도 남편과 아내는 생각하는 게 다릅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영화와 드라마 제작 예산에 방역 비용이 추가되면서, 이미 제작 진행 허가를 받은 작품도 돌아보는 경우가 늘어났다. 대본을 다 완성해 놓은 지난 8월 갑작스럽게 캔슬된 넷플릭스 드라마 <아임 낫 오케이>도 그런 경우인데, 제작자는 최근 자신이 생각하는 제작 취소...
<레이디 버드>에 이어 그레타 거윅과 시얼샤 로넌이 다시 뭉쳤다.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리메이크한 영화 <작은 아씨들>이 바로 그것. 시얼샤 로넌은 네 자매 중 독립적이면서도 진취적인 작가 ‘조’를 연기했다.
재개봉 붐인 극장가에서 예전 영화를 보다보면, 저런 배우가 있었지 하고 반가운 마음이 들 때가 있다. 5월에 재개봉한 <판의 미로 - 오필리아와 세 개의 열쇠>나 20년 만에 첫 개봉한 <로제타>를 보면서 그랬다. 그 배우들은 지금 어떤 모습일까.
한국의 문화에 빠져서, 음식을 좋아해서, 노래가 좋아서! 또는 특별한 이유로 한국을 좋아하는 해외 배우들이 있습니다. 한국인보다 한국을 더 좋아하는(?) 것 같은 스타 일곱 명을 모아봤습니다. 바로 확인해보시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