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규한 <씨네플레이> 기자
사건보다는 사람에, 화려함보다는 선명함에 주목하라
★★★☆
역사를 쉽고 흥미롭게 담아내는 이준익 감독의 장기는 이번에도 빛났다. 이상과 현실, 실용과 관념, 저항과 순응이 충돌하는 역사의 변곡점을 정약전(설경구)과 창대(변요한)의 관계를 통해 조망한다. 배움과 쓰임은 누구를 위한 것인지에 대한 이들의 고민은 현재를 사는 우리에게도 같은 무게의 질문으로 다가온다. 사극이 처음이란 말이 무색하게 설경구의 연기는 기품이 있고, 변요한은 이에 힘있게 호응한다.
이은선 영화 저널리스트
바다가 아닌 길에 대한 이야기
★★★☆
학자 정약전은 왜 물고기 책을 썼는가. 민생에 득이 되는 실리의 기록을 남기고 싶어 한 태도는 무엇을 말하는가. <자산어보>는 그 마음을 읽어내리는 영화다. 자연을 가까이에서 겸손하게 대하며 삶의 이치를 터득하는 것은, 학문적 성취와는 또 다른 어떤 경지다. 감독은 바로 이것이 정약전이 붓을 든 힘이었을 거라 말한다. 그렇게 <자산어보>는 바다가 아닌 길에 대한 이야기가 된다. 우리가 지금 어디에 서 있는지, 거기에서 무엇을 볼 것인지에 대한 질문이 된다. 서로 우정과 배움을 나누는 정약전과 창대의 모습이 담긴 전반부의 흐름이 워낙 유려하기에, 이후 두 사람이 각자의 길을 걷는 과정의 밀도가 조금은 아쉽다. 다만 하나의 아름다운 수묵화를 보는 듯한 인상을 남기는 이 영화에서, 끝까지 시선을 단단하게 잡아두는 배우들의 얼굴은 아쉬움을 상쇄하고도 남는다. 얼굴에 패인 주름, 몸의 움직임, 시선 등 모든 것이 그대로 농담을 조절해 스크린에 입힌 먹으로 기능한다. 스크린에서 본 그 어떤 풍경보다 이것이 더욱 스펙터클하다.
이지혜 영화 저널리스트
바람과 파도로 그린 수묵담채화
★★★☆
좋은 사극은 과거를 이야기하지만 결국 현재를 소환한다. <자산어보> 역시 그러하다. 성리학이 진리라고 믿는 창대와 그딴 거 다 소용없고 백성을 위해서는 물고기 책이 더 낫다는 정약전. 서로 다른 신념을 지닌 이들이 의견을 주고 받고 충돌하면서 조선의 근대성이 현재에 가지는 의미가 자연스럽게 도출된다. 여백과 명암으로 눈 닿는 곳마다 유려하게 풀어낸 수묵담채화 같은 풍광 또한 이야기에 걸맞게 깊다.
정시우 영화 저널리스트
영상으로 쓴 수묵화
★★★☆
<동주>로 송몽규를 소개하고 <박열>로 가네코 후미코를 알렸던 이준익 감독이 이번엔 정약용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정약전(과 정약전 세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어부 창대)을 주목했다. 정약전이 남긴 ‘자산어보’ 한 권에서 시대정신과 먹고사니즘과 세상을 바라보는 가치관 차이와 신분을 초월한 우정을 촘촘하게 엮어낸 이준익 감독의 상상력/공력에 존경을 표한다. 제작비 조달이라는 현실적 이유가 존재하긴 하지만, 이준익 감독의 흑백은 이번에도 옳다. 흑과 백의 대비가 만들어내는 바다 풍광이 이토록 아름다울 줄 미처 몰랐다. 영상으로 쓴 수묵화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