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배우 참 메소드 연기가 훌륭했어." "이런 게 바로 메소드 연기지." 영화 관련 기사에서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는 단어 '메소드', 그 정확한 뜻은 과연 무엇일까요? 메소드 연기의 정의, 유래와 함께 메소드 연기로 유명한 배우들을 알아보았습니다.


메소드 연기의 정의

메소드 연기를 한 줄로 말하자면 '배우가 극중 인물 자체가 되어 연기하는 방법'입니다. 배우가 자신에게 주어진 역할에 몰입해 극사실주의적인 연기를 보여주는 것을 의미하죠. 원작이 있는 작품일 경우에는 원작 속 인물의 모습을 충실히 재현하고, 오리지널 각본일 경우 각본 전반의 이해와 함께 직접 그 인물이 되어 연기의 완성도를 높이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메소드 연기는 시나리오에 적힌 대사를 중점으로 하는 것이 아닌 배우 내면으로부터 나오는 연기를 중시하는데요. 이 때문에 배우는 자신이 맡은 인물에 대해 깊게 조사하는 과정을 거칠 수밖에 없습니다. 예를 들어 다리를 다친 인물을 연기한다면 일상생활에서도 목발을 짚고 다닌다거나, 소매치기 역할을 맡았다면 직접 그들 사이에 들어가 함께 생활을 해보는 것이죠. 연기를 하는 상황에서도 '이 인물이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깊게 탐구하는 과정을 거치기도 하고요. 그렇다면 메소드 연기의 유래는 어떻게 될까요?


메소드 연기의 유래
콘스탄틴 스타니슬라프스키와 리 스트라스버그

메소드 연기법은 러시아의 연극배우이자 연출가인 콘스탄틴 스타니슬라프스키가 제창한 연기 이론 '스타니슬라프스키 시스템'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그의 이론이 메소드 연기의 근간을 이뤘다고 볼 수 있는데요. 스타니슬라프스키는 진실하면서도 살아있는 연기의 개념을 주장하며 배우가 연기하는 매 순간마다 극중 인물로서 삶을 살아야 한다는 것을 강조했습니다. 이는 각 장르별로 정해진 호흡, 발성, 동작패턴 등을 중시했던 1930년대 이전의 고전연기와 정반대의 개념이었죠. 

이후 미국의 연출가이자 연기 지도자 리 스트라스버그가 스타니슬라프스키의 이론을 바탕으로 고안한 연기방법이 메소드 연기 이론입니다. 리 스트라스버그는 엘리야 카잔 감독 등과 함께 1947년 뉴욕의 연기자 그룹 액터스 스튜디오(Actors Studio)를 설립하는데요. 여기에 이 이론을 도입하며 1950년대 할리우드 영화에 지대한 영향을 주게 됩니다. 말론 브란도, 로드 스타이거, 줄리 해리스, 제임스 딘, 몽고메리 클리프트, 폴 뉴먼 등이 액터스 스튜디오 출신의 배우들입니다. 특히 <워터프론트>(1954)에서 보여준 말론 브란도의 연기는 액터스 스튜디오가 지향했던 메소드 연기의 정수를 보여준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원래의 단어 뜻과는 달라졌다고?

처음 스타니슬라프스키가 말한 메소드 연기란 기존의 과장된 연기와는 달리 인물의 감정을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걸 의미했습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오늘날 우리가 말하는 메소드 연기는 극적으로 감정을 표현하는 연기를 지칭하곤 하는데요. 과하게 소리를 지르고, 눈물을 흘리고, 분노에 찬 격한 감정을 보여줄 때 말이죠. 이는 메소드 연기 이론을 신봉하던 말론 브란도가 정작 자신은 감정적으로 격한 연기를 보여주며, 그를 존경하는 다른 배우들이 그의 연기를 메소드 연기라고 생각해 단어의 뜻이 달라진 것이 아닐까 하는 추측이 있습니다.


메소드 연기의 문제점

메소드 연기의 가장 큰 문제는 시간입니다. 배우가 역할에 몰입하는 시간과 역할에서 빠져나오는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메소드 연기를 하는 배우는 다작이 힘들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 하나의 문제점으로는 배우가 역할에 과하게 빠져든 나머지 일상생활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건데요. 배우 최민식의 영화 <악마를 보았다> 촬영 당시 일화가 유명하죠. 그는 "영화 촬영을 하면서 엘리베이터에서 친근감을 표시하던 아저씨가 내게 반말하자 '이 XX, 왜 반말을 하지?'라는 생각이 들었다"며 순간 자신에게 섬뜩함을 느꼈다고 밝혔습니다. 이후 그는 '다시는 살인마 연기를 하지 않겠다'고 결심했다고 하죠.


메소드 연기를 하는 대표 배우들

이러한 메소드 연기를 바탕으로 누구보다 리얼한 연기를 보여준 대표적인 배우들을 모아보았습니다. 

<맨>

말론 브란도

위에서 언급했듯 메소드 연기의 중심에 있는 배우죠. 그는 영화 <맨>에서 신체가 마비된 군인 켄을 연기하며 영화를 촬영하지 않을 때에도 휠체어를 타고 다녔다고 합니다. 또한 <대부>에서는 마피아 가문의 보스 비토 콜레오네 역할로도 유명하죠. 그가 극중 살인에 대해 이야기하며 다정하게 고양이를 쓰다듬는 장면이 나오는데요. 이는 공포와 부드러움을 동시에 가진 자의 내면을 표현하기 위한 그의 즉흥연기였고, 지금까지도 애드리브의 좋은 예로 회자되고 있습니다.

이미지 준비중

감독 프레드 진네만

출연 말론 브란도, 테레사 라이트

개봉 1950 미국

상세보기
대부

감독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

출연 말론 브란도, 알 파치노, 제임스 칸

개봉 1972 미국

상세보기

<대부2>

로버트 드 니로

메소드 연기에서 빠질 수 없는 또다른 배우죠. 로버트 드 니로는 영화 <택시 드라이버>에서 택시 기사 트래비스 버클 역할을 맡으며 한달간 12시간 교대의 택시 운전 일을 직접 해보았으며, <대부2>에서 미국으로 이민 온 마피아 돈 콜레오네 역할을 맡아 이탈리아계 미국인의 악센트를 배우기 위해 이탈리아에서 몇 달간 생활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그의 연기법을 지칭하는 '드니로 어프로치'라는 용어가 생겨났을 정도죠.

택시 드라이버

감독 마틴 스콜세지

출연 로버트 드 니로

개봉 1976 미국

상세보기
대부 2

감독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

출연 알 파치노, 로버트 듀발, 다이안 키튼, 로버트 드 니로

개봉 1974 미국

상세보기

다니엘 데이 루이스

할리우드 배우들 중 메소드 연기법을 가장 철저하게 고수하는 배우로 유명한 다니엘 데이 루이스. 그는 영화 <나의 왼발>에서 왼발만 움직일 수 있는 장애인 크리스티 브라운을 연기하기 위해 촬영장에서 내내 휠체어를 타고 다녔고, 최근 영화 <링컨>에서 에이브라함 링컨을 연기하는 동안에는 서명할 때마다 이니셜 A를 사용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링컨을 다룬 책을 100권도 넘게 읽으며 역할에 빠지기 위해 노력했는데요. 안타깝게도 그는 지난 6월 배우 은퇴를 공식 선언했습니다.

나의 왼발

감독 짐 쉐리단

출연 다니엘 데이 루이스, 레이 맥아널리, 브렌다 프리커

개봉 1989 영국, 아일랜드

상세보기
링컨

감독 스티븐 스필버그

출연 다니엘 데이 루이스, 조셉 고든 레빗, 토미 리 존스, 샐리 필드

개봉 2012 미국

상세보기

<다크 나이트>

히스 레저

<다크 나이트>에서 그가 보여준 조커 연기에 박수를 보내지 않을 사람이 누가 있을까요. 그는 조커를 연기하기 위해 한 달 동안 호텔에 틀어박혀 바깥으로 한 발자국도 나가지 않으며 역할에 몰두했고, <배트맨> 원작 만화를 쌓아놓고 읽으며 스스로 조커가 되어 광기에 찬 일기를 계속해서 써나갔다고 하죠. 그 결과 히스 레저는 지금까지도 관객들에게 최고의 조커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다크 나이트

감독 크리스토퍼 놀란

출연 크리스찬 베일, 히스 레저, 아론 에크하트

개봉 2008 미국

상세보기

<파이란>

최민식

국내 메소드 연기의 1인자는 단연 최민식이죠. 위에서도 언급했듯 영화 <악마를 보았다>의 일화도 있고, <파이란>에서 3류 양아치 이강재 역할을 맡았을 때는 실생활에서도 깡패(!)처럼 행동했다는 후문이 있습니다. 

악마를 보았다

감독 김지운

출연 이병헌, 최민식

개봉 2010 대한민국

상세보기
파이란

감독 송해성

출연 최민식, 장백지

개봉 2001 대한민국

상세보기

씨네플레이 에디터 박지민

재밌으셨나요? 아래 배너를 눌러 네이버영화를 설정하면 영화 이야기, 시사회 이벤트 등이 가득한 손바닥 영화 매거진을 구독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