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옥은 1960년대 중반 <무진기행>, <차나 한잔>, <서울, 1964년 겨울> 등 단편소설을 발표하며 파란을 일으켰다. 하지만 한국문학 수퍼 루키 역시 생계의 벽에 부딪힐 수밖에 없던 차, '문예영화'의 대표주자로 정평이 난 김수용 감독이 <무진기행>을 원작 삼아 <안개>(1968)를 연출하고 김승옥이 직접 각색을 맡으면서 영화계에 발 들이게 됐다. 연출 기회는 빨리 찾아왔다. 그 이듬해, <안개>의 제작자 김태수와 김수용 감독의 제안으로 김동인의 단편소설 <감자> 영화화를 맡게 된 것. 공교롭게도 김승옥은 <서울, 1964년 겨울>로 동인문학상을 수상한 바 있다. 원작과 달리 주인공 복녀(윤정희)의 고통스러운 삶을 보여주는 데에 무게를 둔 <감자>는 로카르노 영화제에 초청돼 호평받았다. 흥행엔 실패했던 탓일까, 이후엔 감독이 아닌 각본/각색만 담당하면서 <장군의 수염>(1968), <충녀>(1972), <어제 내린 비>(1974), <영자의 전성시대>(1975), <겨울여자>(1977) 등 한국영화사를 대표하는 작품들에 이름을 올렸다. <겨울여자>는 <장군의 아들>(1990) 이전까지 13년간 최고 흥행작의 자리를 굳건히 지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