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4회 칸국제영화제(이하 칸영화제)가 폐막했다. 작년엔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2년 만에 개최된 영화제를 통해 전세계 영화 팬들이 손꼽아 기대하는 신작들이 대거 손보였다. 심사위원장 스파이크 리를 비롯해 마티 디옵, 매기 질렌할, 예시카 하우스너, 멜라니 로랑, 밀렌 파르메르, 클레버 멘돈사 필류, 타하르 라힘, 그리고 한국배우 송강호까지, 심사위원진이 선택한 수상작은 무엇인지 살펴보자.
황금종려상
<티탄>
Titane
줄리아 뒤쿠르노
올해 칸영화제 황금종려상의 주인공은 너무 일찍 공개됐다. 폐막식 초반 심사위원장 스파이크 리가 (신인감독상에 해당하는) 황금카메라상을 호명해야 하는 타이밍에 그만 실수로 황금종려상 수상작이 <티탄>이라고 발표해버린 것. 아버지의 불찰로 인한 차 사고를 당해 머리에 티타늄을 장착하면서 살아가는 여자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티탄>은 식인을 소재로 한 <로우>의 파격을 한발 더 밀어붙인 설정들로 무장해 객석을 충격에 빠트렸다. 특히 주인공이 자동차와 성행위를 벌이는 장면에 대한 소문이 자자했다. 장편 데뷔작 <로우> 이후 5년 만의 신작으로 황금종려상을 거머쥔 줄리아 뒤쿠르노는 <패왕별희>와 공동수상한 <피아노>(1993)의 제인 캠피온 이후 두 번째(단독으론 처음으)로 황금종려상을 받은 여성 감독이 됐다. 왓챠가 수입해 극장에서 먼저 선보인 후 왓챠에서 서비스될 예정.
심사위원대상
<영웅>
A Hero
아쉬가르 파라디
<6번 칸>
Compartment No. 6
유호 쿠오스마넨
심사위원대상은 이란 감독 아쉬가르 파하디의 <영웅>과 핀란드 감독 유호 쿠오스마넨의 <6번 칸>이 함께 받았다. 2011년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나톨리아>와 <자전거를 탄 소년> 이후 10년 만의 공동수상. 파하디와 쿠오스마넨 모두 칸 영화제가 꾸준히 지지를 보낸 감독이다. 파하디의 작품은 <과거>(2013)부터 네 번 연속 경쟁부문에 초청돼 여우주연상, 남우주연상, 각본상을 가져간 바 있다. 쿠오스마넨은 데뷔작 <올리 마키 생애 가장 행복한 날>(2016)이 '주목할 만한 시선'상을 받고 5년 만에 내놓는 새 영화 <6번 칸>으로 그랑프리를 받았다. 빚을 갚지 못해 복역 중인 남자가 이틀간의 휴가 동안 빚을 면제해달라고 설득하러 다니는 여정을 그린 <영웅>과 암벽 그림을 보러 열차에 탄 핀란드 대학생이 같은 열차 칸에서 러시아 광부를 만나 그의 업주를 찾아가는 <6번 칸> 각자 이란과 러시아를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팍팍한 삶을 이어가는 사람들을 사실적인 연출로 그려내고 있다는 접점이 있다. <영웅>은 영화사 '찬란'이 수입했다.
감독상
<아네트>
Annette
레오스 카락스
여우주연상
<더 워스트 펄슨 인 더 월드>
The Worst Person in the World
르나트 라인제브
남우주연상
<니트램>
Nitram
케일럽 랜드리 존스
각본상
<드라이브 마이 카>
Drive My Car
하마구치 류스케
심사위원상
<메모리아>
Memoria
아피찻퐁 위라세타쿤
<아헤드의 무릎>
Ahed's Knee
나다브 라피드
심사위원상은 재작년 <바쿠라우>(올해 심사위원 클레버 멘돈사 필류의 영화다)와 <레 미제라블>에 이어 공동수상이다. <메모리아>와 <아헤드의 무릎>은 각각 칸 황금종려상, 베를린 황금곰상을 받은 바 있는 아피찻퐁 위라세타쿤과 나다브 라피드의 신작이다. 라피드의 <아헤드의 무릎>은 40대 영화감독이 외딴 사막 마을에서 한 여자를 만나 자신의 오랜 상처를 치유하는 과정을 그린다. 영화제 후반부에 공개돼 극찬이 쏟아졌던 위라세타쿤의 <메모리아>는 감독이 처음 고국 타이를 벗어나 콜롬비아에서 촬영을 진행한 작품이다. 배경이 되는 공간의 원시적인 에너지를 구현해 죽음과 역사를 대면하는 위라세타쿤의 오랜 화두가 콜롬비아에선 어떻게 펼쳐졌을까.
씨네플레이 문동명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