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치 2>

이름보다 얼굴이 먼저 익는 배우들이 있다. 보통 배우 경력이 긴 조연급 배우들이 대표적인데, 이 배우는 조금 다르다. 그의 얼굴은 누군가에게 '논란'을 떠올리게 하고, 누군가에게 '명작'을 떠올리게 한다. 2월 22일 개봉한 <서치 2>의 주인공 스톰 레이드다. 사라진 엄마를 찾기 위해 흔적을 쫓는 준 알렌 역을 맡은 그는 왜 이름보다 얼굴이 유독 깊게 남은 걸까. 그의 출연작을 중심으로 그 경로를 짚어본다.


문제의 시작, <시간의 주름>

<시간의 주름>

먼저 앞서 말한 '논란' 얘기를 꺼내지 않을 수 없다. 2003년생 이 어린 배우에게 무슨 논란이 있겠느냐마는, 정확히 말하면 그가 아닌 그의 출연작이 문제였다. 스톰 레이드는 디즈니 실사 영화에 캐스팅되며 처음으로 블록버스터급 상업 영화에 합류하게 됐다. <시간의 주름>은 매들린 렝글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시간의 틈으로 사라진 아빠를 찾아 나선 소녀의 이야기를 그린다. 스톰 레이드가 그 소녀 멕 머리 역으로 캐스팅됐다.

소설 「시간의 주름」은 1963년 뉴베리상을 수상하고 지금까지도 회자될 정도로 인기와 평가 모두 성과를 거둔 작품이다. 그런 소설이 영화화되니, 그것도 디즈니라는 믿음직한 회사에서 제작하니 팬들의 기대는 상당했다. 그 기대감이 불만의 목소리로 변한 건 캐스팅 발표였다. '디즈니에서 만드는 SF 판타지'로서 화사한 이미지를 상상했을 사람들은 오프라 윈프리, 민디 케일링, 스톰 레이드로 이어진 출연진에 당황했다. 논란이 더욱 짙어진 건 멕 머리(스톰 레이드)의 아버지 알렉스 머리는 백인 크리스 파인이 내정되면서부터였다. 흑인 아이를 캐스팅하고 굳이 백인 배우를 아버지로 캐스팅할 필요가 있냐는 거였다(물론 어머니 케이트 머리는 흑인 배우 구구 음바타로가 맡았다).

과할 정도로 다채로운 인종 구성

이런 연유로 <시간의 주름>은 개봉 전부터 꾸준히 비판을 받았고, 완성한 작품도 지나치게 작위적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디즈니의 미운 손가락이 됐다. 오죽하면 한국에서조차 개봉하지 못하고 VOD 시장으로 직행했다. 물론 이런 비난은 에바 두버네이와 제작진에게 향했지, 각 배우들에게 향하진 않았다. 그러나 스톰 레이드 입장에선 상업 영화 주연 자리를 꿰찬 만큼 훌륭하게 소화하고 싶었을 텐데, 영화 외적 논란으로 얼굴을 알리게 된 안 좋은 사례가 되고 말았다.


성실하게 착실하게 쌓은 인지도

<시간의 주름>으로 대중적으로 얼굴을 알린 건 맞지만, 그래도 영화를 꾸준히 챙겨 보는 사람에겐 그의 얼굴이 단순히 그것 때문에 익은 건 아닐 것이다. 스톰 레이드는 <노예 12년> 에밀리로 눈도장을 찍은 후 배우 활동을 쉬지 않고 이어갔다. 국내에도 개봉작, VOD 영화 등에서 주조연급으로 얼굴을 비춘 영화가 다수 있다.

<더 수어사이드 스쿼드>

가장 최근 작품을 살펴보면 <더 수어사이드 스쿼드>가 있다. 여기선 블러드스포트/로버트 듀브와(이드리스 엘바)의 딸 타일라 듀브와로 출연했다. 스마트워치를 훔친 것이 아니라 훔치다 걸린 걸로 타박하는 아빠에게 "엿 먹어요!"를 연발하다가 "당신 같은 사람이 내 아빠라는 게 제일 부끄러워요!"하고 실망감을 감추지 못한다. 결국 자신의 재판일이 다가오고 있고, 아만다 윌러에게 아빠라면 도와줄 거라고 들었다며 토로한다. 영화 속 출연은 이것으로 끝인데 블러드스포트의 동기이자 이드리스 엘바와의 'F-워드' 대결로 잊을 수 없는 강렬한 장면을 남겼다.

움짤만 봐도 소리가 들리는 부녀상호패드립 현장

<인비저블맨>

다른 작품으로는 <인비저블맨>이 있다. 스톰 레이드는 경찰관 제임스(알디스 호지)의 딸 시드니를 연기한다. 주인공 세실리아(엘리자베스 모스)가 안전을 위해 제임스의 집에 머물면서 함께 생활하게 되는데, 그 때문에 여럿 위험한 상황에 휩싸이게 된다. 세실리아 곁에 있다는 이유만으로 투명인간에게 감시당하고 심지어 폭행까지 당하는 무고한 피해자 중 하나. 엘리자베스 모스의 열연에 묻혀서 그렇지, 스톰 레이드 또한 보이지 않는 존재 때문에 일어나는 상황들에 피폐해지는 캐릭터를 훌륭하게 연기했다.

<유포리아>

드라마 <유포리아>에도 출연했는데, 루 베넷(젠데이아 콜먼)의 동생 지아 베넷이다. 어린 나이에 마약에 중독되면서 사고를 치는 언니와 달리 그래도 하이틴 영화에서 흔히 볼법한 평범한 10대 소녀이다. 언니가 약물 과다 복용으로 질식할 법한 장면을 목격한 게 평범한 일은 아니지만… 루 베넷 중심으로 전개되는 드라마라 작중 비중이 큰 건 아니지만, 엄마 레슬리(니카 킹)와 언니 루의 연결고리로 드라마 분위기를 환기하곤 한다.


2023년 <서치 2>와 <라스트 오브 어스>

<서치 2>

<서치>가 비평과 흥행 모두 성공하고 시퀄 제작을 발표했을 때, 누가 존 조의 자리를 이어받을 수 있을지 호기심을 자극했다. <서치>는 노트북과 인터넷을 통한 수사극으로 주변 인물과 직접적인 상호작용이 상대적으로 적어 영화를 주도하는 주인공의 존재감이 꽤 중요하기 때문. 그 자리는 스톰 레이드에게 돌아갔다. 영화 연출을 맡은 니콜라스 D. 존슨과 윌 메릭은 존 조처럼 흡입력 있는 연기를 펼칠 젊은 배우로 스톰 레이드를 떠올렸다. 때마침 <인비저블맨>이 개봉했고, 두 사람은 그 영화를 보면서 결심을 굳혔다. 스톰 레이드 또한 <서치 2>에 관심을 보이면서 두 감독의 희망대로 주인공 준 역은 스톰 레이드가 맡게 됐다.

<라스트 오브 어스> 캐릭터 포스터(왼쪽), 게임 원작(오른쪽 아래)과의 비교

한국은 더 나중이 되겠지만, 미국 현지에선 스톰 레이드의 또 다른 캐릭터를 곧바로 출격 준비 중이다. 동명의 게임 원작 드라마 <라스트 오브 어스>에서 스톰 레이드가 라일리를 연기하기 때문. 라일리는 원작 게임 <라스트 오브 어스>의 DLC '레프트 비하인드'에 등장하는 캐릭터로 엘리의 절친한 친구이다. 원작 게임에서 엘리와 라일리가 함께하는 순간은 작품 내내 거칠게 '어른인 척' 하는 엘리가 천진난만한 모습을 보여주는 몇 안 되는 장면이라서 이번 드라마에서도 심혈을 기울여 아름다운 순간을 만들 듯하다. 벨라 램지와 스톰 레이드가 어떤 시너지를 낼지 사뭇 궁금하다.

두 작품 이후 스톰 레이드를 만날 수 있는 영화는 <더 넌 2>이다. 2018년 영화 <더 넌>의 속편으로 현재까지 어떤 내용이 그려질지 밝혀지지 않았다. 스톰 레이드가 맡은 배역도 미공개. 전작처럼 아이린 수녀는 타이사 파미가가 맡고, 연출은 코린 하디 대신 <컨저링 3: 악마가 시켰다>를 연출한 마이클 차베즈가 한다. <인비저블맨>에 이어 보여줄 스톰 레이드의 공포 연기를 기대할 수 있겠다.


씨네플레이 성찬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