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시민 케인>을 안 볼 수 있죠?”

“그러는 당신은 <사운드 오브 뮤직> 봤어요?”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브래드 피트, 마고 로비가 나눈 대화다.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브래드 피트는 <사운드 오브 뮤직>을 본 적이 없고, 마고 로비도 <시민 케인>을 안 봤다며 놀림을 당했다. '고전'이나 '명작'이라는 수식을 단 채 오래도록 칭송되는 영화들은 많지만, "그 영화 봤어?"라는 질문에 이들처럼 우물쭈물해 본 경험은 누구에게나 있을 것이다. 영화를 사랑하는 당신에게 묻는다. 혹시 당신에게도 안 봤다기엔 너무 많은 걸 알고 있고, 봤냐고 물으면 고개를 끄덕일 수 없는 영화들이 있는가? 그런 고전 혹은 명작들을 소개하는 '솔아안 시네마'로 안내한다.


* 영화 <세렌디피티>의 내용이 포함돼 있습니다.

유독 '영화적인' 도시들이 있다. 영화의 크고 작은 배경으로 등장하면서도 그 내러티브에 지지 않는 매력을 뿜어내는 곳들 말이다. 보는 이로 하여금 여행자를 꿈꾸게 하는 여러 도시 가운데서도, 미국 뉴욕은 독특하다. 월스트리트에서는 조단 벨포트(<더 울프 오브 월 스트리트>,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의 욕망이 들끓고, 브로드웨이에서는 리건 톰슨(<버드맨>, 마이클 키튼)이 무대에서 미쳐버린다. 뒷골목을 전전하던 뮤지션을 하루아침에 벼락스타로 만들 수 있는 것도 이곳이다. 마블과 DC를 막론하고 영웅이란 영웅은 죄다 이곳으로 모이는 바람에 '뉴욕은 슈퍼히어로 포화 상태'라는 말까지 나온다. 이처럼 영화 속의 뉴욕은 거대하며 자유롭고, 풍요로우며 무서운 동력으로 세상을 움직인다.

하지만 뉴욕을 배경으로 한 그 수많은 영화들의 진가는 현실의 시민을 바라보는 시선에서 나온다. '아메리칸드림'을 찾아 미국의 심장으로 모인 사람들, 또 그들이 미국 문화 속에서 낳은 코스모폴리탄 후손을 향한 냉소와 찬사가 뉴욕 영화에 공존한다. 그런 이야기들은 대개 배경에 비해 매우 작지만, 그만큼 선명하다. 대학을 졸업하고 함께 뉴욕으로 향했던 해리와 샐리(<해리가 샐리를 만났을 때>, 빌리 크리스탈-맥 라이언), 그리고 부자 남편을 찾아 뉴욕으로 온 홀리와 가난한 작가 폴(<티파니에서 아침을>, 오드리 헵번-조지 페파드)의 러브스토리가 그렇다. 저마다의 뉴욕을 품은 주인공들의 작지만 선명한 이야기는 특히 1990년대 즈음부터 2000년대까지 집중적으로 쏟아진 로맨틱 코미디 영화에 존재한다.

영화 <세렌디피티>

이때 나온 작품 가운데는 미국인과 유럽인의 사랑을 다룬 영화도 많았다. 물론 모종의 선입견이나 환상에 근거한 '쉬운' 설정이라는 인상도 지울 순 없다. 어느 한 쪽은 자유분방하고, 다른 쪽은 다소 고지식하게 표현되는 경우가 다수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뉴욕이 아니어도 될 것 같은 사건들이 굳이 뉴욕에서 펼쳐질 때 도시는 특별함을 입는다. 영화 <세렌디피티>는 미국인 남자와 영국인 여자의 우연한 만남이 인생의 중대한 발견으로 거듭나는 과정을 뉴욕이라는 캔버스 위에 그려낸 작품인데, 블루밍데일스 59번가점과 월도프 호텔 그리고 세렌디피티 3 카페가 이 흔해 보이는 이야기를 채색한다.

크리스마스이브의 블루밍데일스는 그 어느 때보다 분주하고 활기가 넘친다. 각자 사랑하는 누군가를 위한 선물을 사기 위해 이곳에 모인 덕이다. 미국 남자 조나단(존 쿠삭)과 영국 여자 사라(케이트 베킨세일)는 가판대에 단 한 장 남은 검은 장갑을 동시에 잡는다. 서로가 장갑을 양보하려는 훈훈한 실랑이를 하던 중, 한 노신사가 나타나 장갑을 가져가려고 한다. 직전까지의 양보심은 온데간데없이 승부욕이 불탄 두 사람은 즉석에서 지어낸 이상한 거짓말로 노신사를 포기시킨다. 그 짧은 몇 마디의 대화에서, 조나단과 사라는 운명을 감지한다.

영화 <세렌디피티>

처음 본 사람에게 적용되는 '운명'이란 단어는 모두에게 비슷한 무게감을 가질지 모른다. 하지만 그 모양까지 비슷하지는 않다. 조나단에게 '운명'은 우연히 발견한 네잎클로버 같은 것이어서, 찾기까지의 과정은 아무래도 좋다. 즉 그의 '운명'은 찾은 후부터 시작된다. 반면 사라는 '운명'이 자신에게 어떻게 도달했는지를 가장 중요하게 여긴다. 진짜 운명이라면 세상의 그 무엇도 거스를 수 없는 '계획'과도 같다는 것이다. 플레밍의 페니실린과 콜럼버스의 신대륙이 '세렌디피티(완전한 우연으로부터 중대한 발견이나 발명이 이루어지는 것)'임에 동의하는 두 운명론자는 서로가 서로의 운명인지 아닌지를 두고 난상토론을 벌인다.

애인이 있지만 지금의 운명을 시작으로 받아들일 용의가 있는 조나단과, 애인이 있기 때문에 지금의 우연이 운명일지 확신할 수 없는 사라는 크리스마스이브의 단 몇 시간 사이 여러 실험을 벌이게 된다. 블루밍데일스에서의 장갑 쟁탈전(?)이 끝나고 카페에서 이야기를 나누던 두 사람. 조나단은 이름과 전화번호만이라도 알려달라고 하지만 사라는 "만날 운명이라면 만나게 돼 있다"라며 이를 거절한 채 카페를 떠난다. 조나단은 풀 죽은 채 집으로 돌아가던 중 사라와 이야기를 나누던 카페에 목도리를 두고 왔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다시 카페에 간 조나단은 자신이 양보한 장갑을 찾기 위해 돌아온 사라와 재회한다.

운명 같은 우연에 사라는 마음을 열고 이름과 전화번호를 주려 하지만, 불어온 강풍에 쪽지가 날아가 버린다. 다시 써 주면 될 법도 하지만 사라는 호락호락하지 않았다. 그는 5달러 지폐에 조나단의 이름과 전화번호를 적은 후 가게에서 사탕을 사는데 이를 지불한다. 지폐가 자신에게 돌아온다면 운명이 맞을 것이라면서. 터무니없는 확률에 조나단이 반발하자, 사라는 가방에 있던 소설책을 꺼내 맨 앞 페이지에 스스로의 이름과 전화번호를 쓴다. 날이 밝는 대로 책을 헌책방에 팔 것이고, 운명이라면 책이 조나단의 손에 들어올 게 분명하다는 것이다.

영화 <세렌디피티>

공교롭게도 책의 제목은 <콜레라 시대의 사랑>. 청년 시절 첫눈에 반한 운명의 여자와 안타깝게 헤어진 한 남자가 무려 52년 가까이 그 첫사랑을 기다렸다는 내용이다. 마지막으로 월도프 호텔의 엘리베이터를 이용해 같은 층에서 내릴 수 있는지를 두고 운명을 시험하던 두 사람은 <콜레라 시대의 사랑>처럼 헤어지고, 오랜 기다림을 시작한다. 7년 후의 그들은 모두 결혼을 코앞에 둔 상태지만 이루지 못한 운명에 대한 미련을 남겨두고 있기도 하다. 7년 전의 짧은 밤을 떠오르게 하는 우연들이 뉴욕의 곳곳에서 운명처럼 피어오르고, 결국 조나단과 사라는 그리움에서 비롯된 노력으로 운명을 만들어 낸다. 그래서 두 사람은 진짜 운명이었냐고? 그건 아무도 확신할 수 없다. 하지만 모를 일이다. 조나단과 사라의 우연을 운명으로 빛내 준 뉴욕에서라면 또 다른 운명이 찾아왔을지도.


칼럼니스트 라효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