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사랑
감독 에이슬링 월쉬 출연 샐리 호킨스, 에단 호크

이화정 <씨네21> 기자
하나와 하나가 만나 이룬 풍족함
★★★☆
작은 집 하나에 담긴 사랑과 인생, 예술의 총합. 몸은 불편하지만 정신은 건강한 여자 모드(샐리 호킨스), 그리고 소통에 능숙하지 못하지만 따뜻한 남자 에버렛(에단 호크). 소외된 둘의 만남은 모두의 시선에서 빗겨나 있지만, 둘의 만남은 급기야 풍족한 삶의 환희를 만들어낸다. 한 예술가의 탄생기이자, 평생을 이어간 사랑의 행로가 마음을 움직인다. 모드의 동작 하나까지 놓치지 않고 표현한 샐리 호킨스, 그리고 단순한 표정에 마음을 담아낸 에단 호크, 두 배우의 과장되지 않은 호흡이 오롯이 전달된다.
 
정유미 <맥스무비> 기자
어디서도 볼 수 없는 고귀한 사랑의 집
★★★
여자와 남자는 느리게 천천히 사랑한다. 그들의 비좁은 보금자리를 여자가 자신의 그림으로 하나씩 채워가면서, 남자가 여자에게 인생의 자리를 조금씩 내어주면서 사랑에 물드는 멜로 영화다. 명배우 샐리 호킨스와 에단 호크의 과장 없는 연기가 캐나다 화가 모드 루이스와 남편 에버렛의 사랑을 애정어린 눈으로 바라보게 한다. 모드의 따뜻한 그림들과 풍경화 같은 영상은 두 배우의 연기를 돋보이게 하는 든든한 배경(Back). 실존 인물의 삶과 사랑을 담백한 솜씨로 풀어낸 에이슬링 월쉬 감독의 터치도 섬세하다.
 
이은선 영화 저널리스트
삶이라는 풍경
★★★☆
다루고자 하는 인물에 대한 깊은 이해를 보여주는 영화다. 모드 루이스라는 예술가의 삶과 사랑을 다루면서 일반적 전기(傳記)의 형태가 아닌, 루이스가 있던 풍경들을 충실히 바라보는 방식을 택했다. 인물들이 머무는 풍경을 다루는 이 방식은 생전 그가 그린 그림을 닮았다. 고통 속에서도 그 누구보다 풍성하고 아름답게 삶을 가꿔나갔던 모드를 모자람 없이 연기한 샐리 호킨스의 열연이 오래도록 뇌리에 남아 반짝인다.
 
송경원 <씨네21> 기자
아름다운 것에는 굳이 이름이 필요하지 않다
★★★★
사랑 이야기가 아니다. 정확히, 사랑 이야기만은 아니다. 캐나다 화가 모드 루이스의 실화를 바탕으로 남편 에버렛과의 함께한 나날을 그린다. 육체적으로 불편하지만 충만한 영혼을 지닌 여자와 강건한 신체를 가졌지만 정서적인 결핍에 놓인 남자가 서로의 모자람을 메우며 서로에게 물들어가는 풍경. 한껏 움츠린 샐리 호킨스의 실루엣은 기묘하게, 아니 당연하게 아름답다. 에단 호크의 쓸쓸한 옆모습도 마찬가지. 근래 가장 애잔하게 망막에 새겨질 엔딩.

내 사랑

감독 에이슬링 월쉬

출연 에단 호크, 샐리 호킨스

개봉 2016 아일랜드, 캐나다

상세보기

아메리칸 허니: 방황하는 별의 노래
감독 안드레아 아놀드 출연 사샤 레인, 샤이아 라보프, 라일리 코프

이지혜 영화 저널리스트
청춘만이 가지는 빛
★★★☆
꿈이 뭐냐는 질문을 한 번도 받아보지 못한 아이들. 전국을 돌며 잡지 정기구독권을 파는 이들은 매니저, 인턴 등 직급까지 갖추고 있지만 가출팸에 더 가깝다. 술과 약이 돌아다니는 승합차, 밤마다 벌어지는 파티, 내키는 대로 입는 옷과 몸에 그려진 타투. 자유로워 보이지만 이 허술한 공동체에서 벗어나면 생존 자체가 위협받는 10대들은 아슬아슬하다. 그 사이에서 제 나름의 꿈을 가져보는 스타(사샤 레인)의 빛은 어렴풋하지만 결코 꺼지지 않는다. 길 위의 청춘들이 가진 광량을 최대치로 끌어올린 촬영에 매 순간 감탄할 수밖에 없다.
 
이화정 <씨네21> 기자
근접 거리에서 포착한, 10대들의 진짜 표정
★★★☆
집을 나와 떠돌지만, 결국 집(home)을 찾아가는 여정. 승합차에 올라탄 십대들에게 노래()를 부르고, 자유롭게 연애하고, 밤이 되면 파티와 술이 제공되는 곳은 낙원이다. 안드레아 아놀드 감독은 아이들이 기거하는 하루 동안의 집을 근접관찰하며, 집의 의미를 묻는다. 미국 중서부의 광활한 길 위에 선, 십대들의 진짜 표정. 주연 스타를 연기한 사샤 레인의 원석 같은 연기가 다큐멘터리에 가까운 영화의 표면을 살아있게 만든다.
 
송경원 <씨네21> 기자
길 위의 클로즈업, 좁히고 밀착한 끝에 약동하다
★★★★
가출팸 청소년들의 로드 무비. 아이들은 미니밴과 모텔을 오가며 음악에 취하고 춤으로 해방된다. 생존을 위한 비루한 밥벌이에 여전히 목이 매여 있지만 단순한 방황이 아니다. 폭력과 억압 속에서도 자유로운 순간들을 잃지 않는 길 위의 드라마. 미국의 광활한 풍광에 매료되고 아이들의 솔직한 얼굴에 빠져든다. 다큐멘터리처럼 밀착한 카메라의 리듬이 마치 뮤지컬 같은 약동을 안긴다. 영화가 할 수 있는 어떤 것.

아메리칸 허니: 방황하는 별의 노래

감독 안드레아 아놀드

출연 샤이아 라보프, 라일리 코프, 사샤 레인

개봉 2016 영국, 미국

상세보기

플립
감독 로브 라이너 출연 매들린 캐롤, 캘런 맥오리피

송경원 <씨네21> 기자
보는 내내 미소가 절로
★★★
첫 사랑과 성장. 이름만 들어도 싱그럽고 아름다운 것들을 싱그럽고 사랑스럽게 그린다. 간단해 보여도 쉬운 게 아니다. 사랑의 비극은 서로의 시간이 다르게 흐른다는 건데 첫 사랑도 예외는 아니다. 소녀는 소년을 사랑하고 먼저 훌쩍 성장한다. 소년은 뒤늦게 소녀에게 마음을 빼앗기며 관계가 역전된다. 로맨스와 성장담은 가장 인기 있는 소재지만 그만큼 다루기 어려운데 차분히 해낸다. 기본에 충실한 고수의 내공.

플립

감독 로브 라이너

출연 매들린 캐롤, 캘런 맥오리피

개봉 2010 미국

상세보기

올 리브 올리브
감독 김태일, 주로미

김형석 영화 저널리스트
그리고 삶은 계속된다
★★★☆
식민지와 전쟁과 학살과 독재의 역사를 겪은 우리에게,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현실을 담은 이 다큐멘터리는 결코 먼 나라 외국인들의 이야기가 아니다. 19481차 중동 전쟁 이후 70년 가까이 되는 지금까지도 그들의 역사는 진행형이다. 팔레스타인 사람들을 폭도로 몰고 죄수처럼 감시하는 이스라엘 정부의 부조리한 억압 정책. 이런 척박한 삶 속에서 그들은 더욱 강해지고 투쟁하며 땅을 일군다. 그리고 올리브 나무 한 그루를 심으며 미래의 희망을 꿈꾼다.
 
정유미 <맥스무비> 기자
올리브 나무 사이로 들어가 정체성을 묻는 영화
★★★
팔레스타인은 75%의 사람들이 올리브에 의지해 살아가지만 농사나 수확조차 쉽지 않은 곳이다. 1948년부터 현재까지 이스라엘에 점령당한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이스라엘의 검열과 검문을 견뎌내면서 어떻게 하면 다른 나라들처럼 행복하게 살 수 있을까를 고민한다. 희망을 잃지 않는 이유는 자신들의 땅(뿌리)을 후손들에게 되찾아주기 위해서다. 카메라는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일상으로 들어가 그들의 입장을 세세히 전달한다. 지붕 없는 감옥에 살면서도 그래도 삶은 아름답다고 말하는 누군가의 목소리와 표정이 쉽게 잊히지 않는다. 5.18을 다룬 <오월>(2011), 캄보디아 소수민족을 다룬 <웰랑 뜨레이>(2011)에 이은 민중의 세계사’ 3부작이다.

올 리브 올리브

감독 김태일, 주로미

출연

개봉 2016 대한민국

상세보기

파밍 보이즈
감독 변시연 등 출연 권두현, 김하석, 유지황

이은선 영화 저널리스트
행동하는 청춘, 건투를 빈다
★★★
냉소 가득한 시대 비판이나 자기 비하가 아닌, 자기가 지닌 조건 안에서 가장 건강한 삶의 방식을 고민하는 청년들의 땀방울이 만든 다큐. 꿈에 가까워지는 방법은 꿈을 향한 그 막연한 길로 한 발짝씩 내디뎌보는 수밖에 없다는, 단순하지만 명백한 진리가 이 안에 있다. 모름지기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 법이다. ‘다른 길을 고민하는 청춘에게 씩씩한 응원가가 되기에 제격인 다큐다.

파밍 보이즈

감독 변시연, 장세정, 강호준

출연 권두현, 김하석, 유지황

개봉 2016 대한민국

상세보기

재밌으셨나요? 아래 배너를 눌러 네이버 영화를 설정하면 영화 이야기, 시사회 이벤트 등이 가득한 손바닥 영화 매거진을 구독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