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석 영화 저널리스트
권선징악 범죄 판타지
★★☆
억울하게 죽은 사람이 있고, 그가 사랑하는 연인이 있고, 죽은 자의 유령과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는 영매 같은 존재가 있다. <사랑과 영혼>을 상당 부분 연상시키는 <원더풀 고스트>는 정의감과 권선징악과 순애보 같은 ‘착한’ 이야기를 전달하기 위해, 범죄와 폭력과 배신 같은 ‘어두운’ 소재를 끌고 온다. 이 아이러니를 해결하는 건 마동석이라는 배우의 포스. 거친 외모와 압도적 피지컬을 지녔지만 의외의 귀여움과 디테일한 연기를 지닌 그의 이중적 이미지는 영화의 톤과 겹치는 부분이 있다.
이은선 영화 저널리스트
조금은 아쉬운 코미디
★★☆
이렇게까지 모든 것이 예상 가능하도록 흘러가기도 쉽지 않다. 몹시 착한 영화로 느껴질 수도, 아니면 다소 안일한 기획처럼 느껴질 수도 있다. 각본 단계에서부터 감동 코드를 지나치게 의식한 것이 아닌가 싶다. 등장하는 각각의 캐릭터를 뜯어보면 나쁘지 않지만, 함께 뭉쳐졌을 때 시너지는 좀처럼 발휘되지 않는다는 점도 아쉽다. 우락부락한 생김새와 달리 따뜻하고 정의로운 구석이 있는 캐릭터 연기는 여전히 마동석의 전매특허. 다만 이제는 조금 아껴두었다가 꼭 필요한 때에 알맞게 변형해서 꺼내야 할 장기처럼 보인다.
정시우 영화 저널리스트
안일한 재탕
★★
‘내 눈에만 보이는 고스트’라는 설정은 <원더풀 고스트>의 장점이 될 수 없다. 그러기엔 이미 너무 많은 영화들이 써먹은 소재인지라, 비교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니 이 영화엔 익숙한 소재를 새롭게 짜나가는 세부적이고도 독창적인 아이디어들이 필요하다. 안타깝게도 <원더풀 고스트>에는 놀라울 정도로 그런 아이디어들이 결여돼 있다. 신파, 가족, 도식화된 캐릭터 등 판에 박힌 요소들을 총동원한 결과 <원더풀 고스트>만의 개성도 매력도 메시지도 보이지 않는 안일한 재탕에 멈춰버렸다. 물론 제작자들은 ‘거대한 야심’보다는 ‘대중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는 편한 영화’를 만든다는 목적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것이 당대 대중들을 만족시킬만한 보편적인 눈높이라고 생각했다면 매우 유감이 아닐 수 없다.
정유미 영화 저널리스트
원더풀 하기엔 진부한 코미디
★★☆
코미디부터 범죄, 액션, 드라마까지 많은 장르를 담아 보여준다. 마동석은 그에게 기대하는 코미디와 액션을 너끈히 소화한다. 김영광, 이유영, 최귀화, 주진모 등 다른 배우들도 제 몫을 다한다. 그뿐이다. 시대착오적일 만큼 고스트를 소재로 한 상업 영화의 틀 안에서 한 치도 나아가지 못한다. 어쩌면 나아갈 생각이 없어 보인다. 여러 장르를 적당히 버무려 웃음과 감동을 주려는 안일함이 더 크게 보이는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