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의 마지막 주에 접어들었는데요. 예상대로 여름 시즌이 시작되기 전까지 유니버설의 <분노의 질주: 더 익스트림>이 4월 극장가를 지배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이미 말씀드린대로 북미에서의 성적은 아쉬움이 남았죠. 특이한 점은, 금주는 얼핏 북미 차트가 아니라 월드와이드 차트 아닌가 하는 착각이 들 정도입니다. 주말 북미 극장가의 성적과 순위를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위
분노의 질주: 더 익스트림
(The Fate of the Furious)
- 주말 수익: $19,936,540 (-48%)
- 상영관 수: 4,077 (-252)
- 평균 수익: $4,890
- 총 수익: $193,268,115
- 누적 해외 수익: $1,066,783,559
- 스튜디오: Universal
- 총 제작 예산: $250,000,000 (N/A)
- 상영 기간: 3주

 평점
로튼토마토 지수 - 평론가: 66% / 관객: 79%
IMDb 사용자 지수 - 7.3/10 (57,021 Votes)


<분노의 질주: 더 익스트림>이 3주째 정상을 지켰습니다. 지난주엔 주말 성적이 61%나 빠져나갔는데 이번 주말엔 49% 하락으로 선방했습니다. 개봉 3주차까지 누적된 북미 성적은 1억 9천 3백만불로 현재 페이스로 보면 북미 2억 3천만불 정도가 마지노선으로 보입니다. 지난주도 언급했지만 재작년에 나온 7편과의 비교는 이미 물 건너갔고, 2013년에 나왔던 6편의 3주차 누적 성적(2억 2백만불)에도 점점 차이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이 시리즈도 이젠 슬슬 싫증이 나고 있는 건지 모르겠네요. <분노의 질주> 시리즈하면 아무래도 북미보다는 해외죠? 해외에선 여전히 잘 달리고 있습니다. 오늘까지 기록한 해외성적은 8억 7천 3백만불로 해외 성적 10억불을 넘기려는지 거침없이 달리고 있습니다. 참고로 오늘까지 누적된 월드 와이드 성적은 10억 6천만불로 가볍게 월드 와이드 10억불 고지를 넘어섰습니다. 지난주보다 약 1억 6천만불이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상태라면 월드와이드 12억불까지는 무난할 것으로 보이는데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이제 남은 이 영화의 관심사는 해외에서 10억불을 넘기느냐입니다. 참고로 지금까지 해외에서만 10억불 이상을 벌어들인 영화는 딱 다섯편입니다. 제임스 카메론의 <아바타> 20억불, <타이타닉> 15억불, 그리고 이 영화의 전작인 <분노의 질주: 더 세븐> 11억 6천만불,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11억 3천만불, <쥬라기월드> 10억불 등입니다. 과연 6번째로 해외에서만 10억불을 넘기는 영화가 될 지 앞으로의 결과가 기대됩니다. 이제 다음주부터 여름 시즌이 시작되면 성적이 급전직하 하겠지만 그래도 위 기록엔 도달했으면 합니다.            


2위
하우 투 비 어 라틴 러버
(How to be a Latin Lover)
- 주말 수익: $12,252,439
- 상영관 수: 1,118
- 평균 수익: $10,959
- 총 수익: $12,252,439
- 누적 해외 수익: $12,252,439
- 스튜디오: PNT
- 상영 기간: 1주
- 총 제작 예산: N/A (N/A)

 평점
로튼토마토 지수 - 평론가: 53% / 관객: 82%
IMDb 사용자 지수 
6.0/10 (355 Votes)

2위는 <분노의 질주: 더 익스트림>의 극장수 1/4밖에 안되는 신작 코믹물 <하우 투 비 어 라틴 러버>입니다. 멕시코에서 가장 인기가 많다는 코믹배우 유지니오 데베즈와 라틴계 유명 배우 셀마 헤이엑이 공연한 작품인데요. 개봉 3일간 1천 2백만불의 성적을 올리면서 당당히 2위로 데뷔했습니다. 유지니오 데베즈는 <잭 앤 질>, <비버리 힐스 치와와>, <북 오브 라이프> 등에 출연했습니다. 지난 2013년 그가 연출한 <사랑해, 매기>는 북미에서만 4천 4백만불, 월드와이드로 1억불의 성적을 올리는 돌풍을 일으킨 바 있습니다.            


3위
바후발리 2: 컨클루젼
(Baahubali 2: The Conclusion)
- 주말 수익: $10,354,532
- 상영관 수: 425
- 평균 수익: $24,364
- 총 수익: $10,354,532
- 누적 해외 수익: $81,000,000
- 스튜디오: GrtIndia
- 상영 기간: 1주
- 총 제작 예산: $39,000,000 (N/A)

 평점
로튼토마토 지수 - 평론가: -% / 관객: 91%
IMDb 사용자 지수 - 9.2
/10 (16,798 Votes)


<분노의 질주: 더 익스트림>의 극장수 1/10밖에 되지 않는 인도 영화 <바후발리 2: 컨클루젼>이 주말 북미 극장가의 핵으로 등장했습니다. 금요일 오프닝 데이에 당당히 1위로 등장하더니 개봉 3일간 1천만불의 성적을 기록했습니다. 2015년에 발표된 <바후발리: 더 비기닝>의 속편입니다. 전작은 2천 8백만불의 제작비로 1억 불정도의 흥행 수익을 기록했습니다. 속편은 이미 미국 시장을 비롯해서 월드 와이드로 8천만 불 정도를 기록 중입니다. 제작비가 3천 9백만 불이라는데 이 금액은 역대 인도 영화 제작비 중 두 번째로 많은 금액이라고 합니다.


4위
보스 베이비
(The Boss Baby)
- 주말 수익: $9,372,386 (-26%)
- 상영관 수: 3,739 (+42)
- 평균 수익: $2,507
- 총 수익: $148,787,366
- 누적 해외 수익: $399,249,856
- 스튜디오: FOX
- 상영 기간: 5주
- 총 제작 예산: $125,000,000 (N/A)

 평점
로튼토마토 지수 - 평론가: 53% / 관객: 59%
IMDb 사용자 지수 - 6.5
/10 (13,363 Votes)

보기와는 다르게 뚝심있는 영화. 폭스의 <보스 베이비>가 두 계단 하락하면서 4위를 기록했습니다. 여전히 강세를 이어가고 있는데요, 주말 성적이 지난주보다 불과 26% 하락에 그쳤습니다. 벌써 개봉 5주차가 되었으며 북미 누적 성적은 1억 4천 8백만 불로 현재 페이스로 봐선 최종 성적 북미 1억 6천만 불에서 1억 7천만불 사이가 될 것 같습니다. 오늘까지 누적된 월드 와이드 성적은 3억 9천 9백만 불로 4억 불을 넘어선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이 영화를 드림웍스의 <홈>과 비교했는데요. 월드와이드 누계는 <홈>을 넘어섰습니다.     


5위
더 서클
(The Circle)
- 주말 수익: $9,034,148
- 상영관 수: 3,163
- 평균 수익: $2,856
- 총 수익: $9,034,148
- 누적 해외 수익: $9,034,148
- 스튜디오: STX
- 상영 기간: 1주
- 총 제작 예산: $18,000,000 (N/A)

 평점
로튼토마토 지수 - 평론가: 17% / 관객: 24%
IMDb 사용자 지수 - 5.2
/10 (2,632 Votes)

5위작 <더 서클>은 톰 행크스가 제작에 참여하고 직접 출연했으며 엠마 왓슨이 출연한 신작 드라마 <더 서클>입니다. 동명의 소설이 원작이고, 한 신입사원의 이야기를 다룬 작품인데요. 성적과 순위도 문제지만 영화에 대한 평가가 최악입니다. 북미 관객들 상당히 냉정하네요. 웬만하면 <미녀와 야수>를 생각해서라도 엠마 왓슨 보러 <더 서클>을 찾을 것 같은데 말입니다. 어쨌든 앞으로의 행보가 어둡습니다.


6위
미녀와 야수
(Beauty and the Beast)
- 주말 수익: $6,825,595 (-29%)
- 상영관 수: 3,155 (-160)
- 평균 수익: $2,163
- 총 수익: $480,525,828
- 누적 해외 수익: $1,142,819,754
- 스튜디오: BV
- 상영 기간: 7주 
- 총 제작 예산: $160,000,000 (N/A)

 평점
로튼토마토 지수 - 평론가: 71% / 관객: 85%
IMDb 사용자 지수 - 7.7
/10 (94,005 Votes)


6위는 지난주 3위에서 세 계단 하락한 디즈니의 <미녀와 야수>입니다. 개봉 7주차이며 누적 북미 성적은 4억 8천만 불로 북미 5억 불까지 아슬아슬합니다. 지난해 픽사의 <도리를 찾아서>가 아쉽게 5억 불 고지를 넘어서지 못한 한을 이 영화가 풀어줄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오늘까지 기록한 월드 와이드 누계는 11억 4천만 불입니다. 지난주보다 4천만 불이 늘었는데 12억 불까지는 힘들어 보입니다.


7위
고잉 인 스타일
(Going in Style)
- 주말 수익: $3,607,144 (-27%)
- 상영관 수: 2,761 (-277)
- 평균 수익: $1,306
- 총 수익: $37,346,914
- 누적 해외 수익: $61,846,914
- 스튜디오: WB (NL)
- 상영 기간: 4주  
- 총 제작 예산: $25,000,000 (N/A)

 평점
로튼토마토 지수 - 평론가: 44% / 관객: 63%
IMDb 사용자 지수 - 6.8
/10 (6,212 Votes)


7위는 지난주 4위에서 세 계단 하락한 워너의 <고잉 인 스타일>입니다. 매주 선전하고 있지만 누적 성적은 크게 눈에 띄지 않습니다. 개봉 4주차를 맞아 누적된 북미 성적은 3천 7백만 불입니다.        


8위
스머프: 비밀의 숲
(Smurfs: The Lost Village)
- 주말 수익: $3,558,031 (-27%)
- 상영관 수: 2,554 (-183)
- 평균 수익: $1,393
- 총 수익: $37,977,532
- 누적 해외 수익: $155,777,532
- 스튜디오: Sony
- 상영 기간: 4주   
- 총 제작 예산: $60,000,000 (N/A)

 평점
로튼토마토 지수 - 평론가: 38% / 관객: 65%
IMDb 사용자 지수 - 5.8
/10 (3,039 Votes)


소니의 기대작 <스머프: 비밀의 숲>이 금주 8위입니다. 소니 관계자들 한숨 나오게 만드는 성적입니다. 북미 누적 성적은 3천 7백만 불이며 월드 와이드 누계는 1억 5천 5백만 불입니다. 지난해 디즈니는 역사상 최고의 흥행 기록을 세우며 승승장구 했습니다만, 소니는 지난 1년간 무려 7억 불이나 마이너스를 기록했다고 하는군요. 이러다가 조만간 소니 문 닫는 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9위
기프티드
(Gifted)
- 주말 수익: $3,364,270 (-26%)
- 상영관 수: 2,215 (+229)
- 평균 수익: $1,519
- 총 수익: $15,894,295
- 누적 해외 수익: $16,452,667
- 스튜디오: FoxS
- 상영 기간: 4주
- 총 제작 예산: $7,000,000 (N/A)

 평점
로튼토마토 지수 - 평론가: 64% / 관객: 87%
IMDb 사용자 지수 - 7.8
/10 (1,901 Votes)


9위는 지난주 8위에서 한 계단 하락한 크리스 에반스 주연의 <기프티드>입니다. 개봉 4주차를 맞아 누적된 북미 성적은 1천 5백만 불입니다.


10위
언포게터블
(Unforgettable)
- 주말 수익: $2,412,141 (-50%)
- 상영관 수: 2,417
- 평균 수익: $998
- 총 수익: $9,150,960
- 누적 해외 수익: $12,150,960
- 스튜디오: WB
- 상영 기간: 2주
- 총 제작 예산: $12,000,000 (N/A)

 평점
로튼토마토 지수 - 평론가: 26% / 관객: 41%
IMDb 사용자 지수 - 4.6
/10 (1,103 Votes)


지난주 7위로 데뷔한 워너의 R등급 스릴러 <언포게터블>이 금주 10위입니다. 개봉 10일 간 기록한 북미 성적은 9백 15만 불. 예전엔 이런 스타일의 R등급 스릴러가 상당히 인기가 많았는데 요즘은 제작도, 흥행도 드뭅니다. 장르의 다양성을 생각하면 참 아쉽습니다. 월드 와이드로 크게 성공하는 장르의 영화들은 따로 있는 듯합니다. 각 스튜디오도 당연히 그런 영화들만 만들고 말이죠.        


월드 와이드 누적
박스오피스 차트

디즈니의 <미녀와 야수>가 지난주보다 약  4천만 불 성적을 추가하면서 11억 4천만 불을 기록, 여전히 1위를 지키고 있는 가운데 유니버설의 <분노의  질주: 더 익스트림>은 1억 6천만불을 추가하며 단숨에 10억불 고지를 점령, <미녀와 야수>를 사정권 안에 두었습니다. 현재 추세로 봐선 <분노의 질주: 더 익스트림>이 <미녀와 야수>를 넘어설 것이 확실해 보입니다. 그리고 폭스의 <보스 베이비>가 의외로 선전, 지난주 6위에서 이번주 5위로 올라섰습니다.            


1위
미녀와 야수
(Beauty and the Beast)
​- 북미 수익: $480,500,000
- 해외 수익: $662,300,000
- 전 세계 수익: $1,142,800,000
- 전 세계 랭킹: 13위
- 스튜디오: Buena Vista

2위
분노의 질주: 더 익스트림
(The Fate of the Furious)
- 북미 수익: $193,300,000
- 해외 수익: $873,500,000
- 전 세계 수익: $1,066,800,000
- 전 세계 랭킹: 20위
- 스튜디오: Universal

3위
로건
(Logan)
- 북미 수익: $224,500,000
- 해외 수익: $383,200,000
- 전 세계 수익: $607,700,000
- 전 세계 랭킹: 122위
- 스튜디오: Fox

4위
콩: 스컬 아일랜드
(Kong: Skull Island)
- 북미 수익: $165,500,000
- 해외 수익: $396,700,000
- 전 세계 수익: $562,200,000
- 전 세계 랭킹: 137위
- 스튜디오: Warner Bros

5위
보스 베이비
(The Boss Baby)
- 북미 수익: $148,800,000
- 해외 수익: $250,500,000
- 전 세계 수익: $399,200,000
- 전 세계 랭킹: 243위
- 스튜디오: Fox (DW)

6위
50가지 그림자: 심연
(Fifty Shades Darker)
- 북미 수익: $114,400,000
- 해외 수익: $264,400,000
- 전 세계 수익: $378,800,000
- 전 세계 랭킹: 264위
- 스튜디오: Universal

7위
너의 이름은.
(君の名は。)
- 북미 수익: $4,500,000
- 해외 수익: $349,500,000
- 전 세계 수익: $354,000,000
- 전 세계 랭킹: 306위
- 스튜디오: FUN

8위
트리플 엑스 리턴즈
(xXx: The Return of Xander Cage)
- 북미 수익: $44,900,000
- 해외 수익: $301,200,000
- 전 세계 수익: $346,100,000
- 전 세계 랭킹: 324위
- 스튜디오: Paramount

9위
그레이트 월
(The Great Wall)
- 북미 수익: $45,200,000
- 해외 수익: $286,800,000
- 전 세계 수익:  $332,000,000
- 전 세계 랭킹: 344위
- 스튜디오: Universal

10위
레지던트 이블: 파멸의 날
(Resident Evil: The Final Chapter)
- 북미 수익: $26,800,000
- 해외 수익: $285,400,000
- 전 세계 수익: $312,200,000
- 전 세계 랭킹: 377위
- 스튜디오: Screen Gems


여름 시즌을 보면 짝수 해는 부진하고 홀수 해는 성적이 괜찮은 경우가 많더군요. 올해 여름도 지난해 여름의 부진을 말끔하게 씻어줄 지 무척이나 궁금합니다. 따끈따끈한 소식 가지고 다시 찾아뵙겠습니다.


권오형 파워블로거

재밌으셨나요? 아래 배너를 눌러 네이버 영화를 설정하면 영화 이야기, 시사회 이벤트 등이 가득한 손바닥 영화 매거진을 구독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