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경삼림>은 X세대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1995년의 이야기다. 볼록한 브라운관 TV에선 고속 촬영, 핸드헬드로 대변되는 <중경삼림> 스타일의 이미지가 쉴 새 없이 재생산됐다. 영화의 삽입곡 ‘캘리포니아 드리밍’(California Dreaming)은 강렬한 기억으로 남았다. <중경삼림>은 1990년 감성을 대표하는 아이콘과 같은 영화다. 선글라스를 벗지 않는 왕가위 감독은 스타일의 상징이었다. 20년이 훌쩍 지나 X세대들은 기성세대가 됐고 그들의 자녀들이 재개봉한 <중경삼림>을 볼 수 있는 나이가 됐다.

코로나19로 인해 줄어든 개봉 영화와 늘어난 재개봉 영화 가운데 왕가위 감독의 리마스터링 <중경삼림>은 꼭 극장에서 봐야 할 영화다. X세대에겐 추억을 그보다 어린 세대에겐 그때 그 시절 레트로 감성을 느껴볼 좋은 기회다. <중경삼림>에 대한 시시콜콜한 사실들이 과거로의 여행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타락천사> 포스터와 왕가위 감독. <타락천사>는 3개 에피소드로 구상했던 <중경삼림>에서 하지 못한 이야기를 담은 영화다.

1. 왕가위 감독은 그날그날 <중경삼림>의 촬영분 만큼의 대본을 전날 밤이나 아침에 썼다. 왕가위 감독은 “<중경삼림>이 로드무비 같은 영화”라고 말했다.


2. <중경삼림>은 임청하의 은퇴작이다. 남장 여인 캐릭터로 등장한 <동방불패>로 크게 인기를 얻었던 임청하는 중성적인 이미지로 고착되는 것을 싫어했다고 한다. <중경삼림> 속 캐릭터는 고전 할리우드 시기에 활동한 배우 그레타 가르보와 존 카사베츠 감독의 <글로리아>에서 제나 로우랜즈가 연기한 글로리아 스웬슨을 모델로 만들어졌다고 한다. 이는 <중경삼림> DVD 부록으로 삽입된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의 작품해설 영상에서 나온 내용이다.


<중경삼림>에 출연한 왕페이.

3. <중경삼림>은 왕페이(예전에는 왕정문이라고 표기하기도 했다)의 데뷔작이다. 왕페이는 유명한 가수다. <중경삼림>에는 그가 부른 <캘리포니아 드리밍>과 <몽중인>이라는 노래가 흘러나온다.


4. <중경삼림>은 <동사서독>의 제작 중 잠시 짬을 내서 23일 만에 촬영해서 완성했다.


(왼쪽부터) 크리스토퍼 도일 촬영감독과 왕가위 감독.

5. 경찰663(양조위)의 아파트는 <중경삼림>의 촬영감독 크리스토퍼 도일의 집이다. 도일은 양조위와 왕페이가 등장하는 <중경삼림>의 2부를 촬영했고 임청하와 금성무가 출연한 1부는 유위강 촬영감독이 맡았다.


6. <중경삼림>의 영어 제목 ‘Chungking Express’는 청킹 맨션(Chungking Mansion, 重慶大厦)과 미드나이트 익스프레스(Midnight  Express)라는 식당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영화평론가 정성일은 <중경삼림> DVD 오디오 코멘터리에서 제목의 조합을 1부는 중경(重慶)이라는 이름의 공간, 2부는 익스프레스(Express)라는 단어가 뜻하는 시간에 대한 이야기라고 말했다. 이 해설에 따르면 엔딩으로 1, 2부의 주인공 4명이 공항에서 만나는 장면이 있었다고 한다.


<중경삼림> 크라이테리온 블루레이.

7. <중경삼림>은 고전, 예술영화 등의 DVD, 블루레이를 제작하는 크라이테리온 컬렉션의 첫 블루레이 영화 가운데 하나다. 2008년에 함께 출시한 블루레이는 웨스 앤더슨 감독의 <바틀로켓>(1996), 캐럴 리드 감독의 <제3의 사나이>(1949), 니콜라스 뢰그 감독의 <지구에 떨어진 사나이>(1976)이다. <바틀로켓>을 제외한 다른 타이틀은 모두 품절이다. 최근 ‘월드 오브 왕가위’(World of Wong Kar Wai) 리마스터링 버전으로 재발매됐다.


8. 2002년 영국영화협회(British Film Institute, BFI)가 발간하는 월간지 <사이트 앤 사운드>(Sight and Sound)에서 주요 영화 평론가 5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지난 25년간 최고의 영화 10편 설문에서 <중경삼림>이 8위에 올랐다. 2012년 같은 잡지에서 조사한 역사상 가장 위대한 영화 100편 여론 조사에서는 144위에 올랐다. <타임> 선정 100대 영화 가운데 하나다.


9. 아카데미 작품상을 수상한 <문라이트>의 배리 젠킨스 감독은 <중경삼림>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말했다.


<중경삼림> 작품 해설 영상 속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

10.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이 <중경삼림>의 해외 배급을 위해 롤링 선더 픽쳐스(Rolling Thunder Pictures)라는 회사를 직접 설립했다. 배리 젠킨스 감독이 <중경삼림>을 볼 수 있었던 이유다. 롤링 선더 픽쳐스는 1995년부터 1999년까지 운영됐다.


박찬욱 감독의 과대평가 영화 10편이 수록된 <키노> 1999년 10월호.

11. 1999년 10월 발간된 영화잡지 <키노>의 기사 “박찬욱 감독의 단편영화 <심판>: B무비 영화 악당 선언! 영화광 순정고백 26분의 진실게임”에서 박찬욱 감독이 꼽은 과대평가 영화 10편 가운데 <중경삼림>이 등장한다. “고독한 게 뭐 자랑인가? 고독하다고 막 우기고 알아달라고 떼쓰는 태도가 싫다. 특히 타월이나 비누 붙들고 말 거는 장면은 기가 막힐 따름이다”라는 평가를 했다. 지금은 어떤지 알 수 없지만 박찬욱 감독의 이 평가는 여러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공유되고 회자됐다.


12. 금성무는 <중경삼림>에서 4개 국어를 구사한다. 표준 중국어, 일본어, 광동어, 영어. 특히 임청하 캐릭터에게 접근할 때는 4개 국어를 전부 사용했다. 금성무는 오키나와 출신의 아버지와 대만 출신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국내에서는 금성무(金城武)라고 보통 표기하지만 이 이름의 한자를 일본식으로 읽으면 가네시로(金城) 다케시(武)가 된다.


13. 2020년 <중경삼림>의 속편, <중경삼림 2020>이 제작된다는 소식이 들렸다. 2036년을 배경으로 유전적으로 미리 짝지어진 파트너를 거부한 남녀의 이야기를 담을 예정이라고 전한다. 실제로 만들어질지는 미지수다.

중경삼림

감독 왕가위

출연 임청하, 양조위, 왕페이, 금성무

개봉 1995.09.02. / 2021.03.04. 재개봉

상세보기


씨네플레이 신두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