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어떤 종류의 ‘최초’도 그렇지만, 공상과학 (sci-fi) 영화 역시 최초는 ‘복수(plural)’다. 최초의 극영화를 꼽는다면 조르쥬 멜리에르의 <달나라 여행>(1902)이, 장편을 기준으로 한다면 프리츠 랑의 <메트로폴리스>(1927)가 그 ‘최초’로서 보편적인 분류일 것이다. 시초는 기준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장르의 전환점만은 그 어떤 기준에서도 동일한데, 이는 바로 1977년, <스타워즈>의 출현이다. 전 세계에서 팬덤을 형성했던 <스타워즈>의 탄생은 sci-fi 영화의 산업, 제작 스타일, 마케팅 등 여러 종류의 확장을 불러왔다.
<스타워즈>가 1970년대 후반 sci-fi 장르의 혁신을 불러 오기 전, 공상과학영화는 다양한 형태의 하위장르들로 존재했다. 1920년대에서 1940년대까지는 <지킬 박사와 하이드>, <프랑켄슈타인> 시리즈를 포함해 유니버설 스튜디오가 양산했던 ‘미친 과학자 (mad scientist)’테마의 하위장르 영화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1950년대에 들어서는 다른 행성에서 온 외계인을 소재로 하거나 외계인의 침입을 예고하는 영화들 (예. <신체강탈자들의 침입>, 1956) 이 등장했다.
1960년대의 냉전시대에는 미국과 소련이 본격적인 ‘우주전쟁’을 시작하면서 ‘누가 먼저 우주에 당도하는가’에 대한 경쟁이 과열된다. 이를 반영하듯 할리우드에서는 지구 바깥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다룬 ‘스페이스 오페라’ 류의 영화들이 만들어졌다. 스탠리 큐브릭의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는 냉전시대에 만들어진 대표적 스페이스 오페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마침내 1977년에는 조지 루카스의 <스타워즈>가 공개되면서 공상과학영화 장르의 격변이 일어난다. 고작 32개의 상영관에서 제한된 상영을 했던 <스타워즈>는 얼마 지나지 않아 블록버스터 급의 흥행에 도달했고, 곧 와이드 릴리즈로 확장되었다. 초반 개봉에 5억 5천만 달러를 벌어들인 <스타워즈>는 1700개의 상영관에서 1982년까지 재개봉을 거듭했고 <E.T.>의 개봉 전까지 지구에서 가장 많이 돈을 벌어들인 영화로 기록되었다.
이어 1979년에는 리들리 스캇의 <에일리언>과 로버트 와이즈의 <스타트랙>이 나란히 흥행을 거두며 sci-fi영화 장르의 시장성을 확고히 했다. 1980년대에는 <블레이드 러너>와 <E.T>, 그리고 <백 투더 퓨쳐> 로 대표되는 이른바 sci-fi 장르의 전성기가 열렸다. 이에 제임스 카메론의 <에일리언 2>로 시고니 위버가 오스카에서 여우주연상 후보에 오르면서 공상과학 장르는 더 이상 10대들이 열광하는 ‘상품’이 아닌, 비평적 성취 역시 가능한 영화예술의 영역으로 인정을 받았다.
이런 의미에서 올해 공개된 넷플릭스 오리지널, <아담 프로젝트>는 1980년대의 황금기 공상과학영화의 대표작들을 골고루 버무린(?) 신작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영화는 <스타워즈>부터 <백 투더 퓨처>까지 다수의 기념비적인 공상과학 영화들의 레퍼런스를 사용한다. <프리 가이>의 숀 레비가 연출을 맡았고 전편과 마찬가지로 라이언 레이놀즈와 함께 영화의 공동제작 및 협업을 했다. <아담 프로젝트>는 2050년을 배경으로 시간 여행이 상용화 된 미래에 살고 있는 ‘아담’ (라이언 레이놀즈)이 이를 악용하는 ‘소리언’ 그룹의 오너, ‘마야’ (캐슬린 키너’)를 막기 위해 2022년의 어린 아담과 힘을 합쳐 세상을 구해낸다는 이야기다.
지극히 단순한 플롯을 가지고 있지만 영화 속에는 sci-fi 장르 계보에서 가장 빛나는 작품들의 레퍼런스들이 빼곡하다. 따라서 장르의 팬이라면 (만족스럽다고는 할 순 없는) 영화의 완성도와는 별개의 즐거움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첫째로, 영화의 주인공인 어린 아담이 이상한 인기척을 느끼고 집 주변에 숲에서 미래의 아담과 처음으로 조우하는 대목은 <E.T>에서 엘리엇이 우주선이 고장 나서 지구에 사고로 정박하게 되는 이티를 만나는 장면을 패러디했다 (아담이 또래의 아이들 보다 작고 약한 캐릭터이며, 아담의 엄마가 싱글맘이라는 설정 역시 <E.T>의 엘리엇을 차용한 듯 하다). <E.T>에서는 엘리엇이 겁에 질린 이티를 집까지 무사히 데려오기 위해 Reese’s 초콜렛을 이용하는 장면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시나리오 상에서는 M&Ms 였지만 <E.T>의 흥행을 예측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상품 노출을 꺼려했던 M&Ms가 이를 거절했고, 당시 신상품이었던 Reese’s 가 이를 받아들였던 것이다. 영화의 개봉이후 Reese’s 는 65%의 판매 상승을 기록하면서 가장 많이 팔리는 초콜렛으로 등극했다. <E.T.>의 성공과 문화적 여파를 보여주는 또 하나의 에피소드다.
두번째로, 성인이 된 (2050년에서 날아온) 아담이 술집에서 아담의 엄마, 엘리에게 말을 거는 설정은 여지없이 <백 투더 퓨처>를 떠올리게 한다. 로버트 저메키스 연출의 <백 투더 퓨처>는 주인공 ‘마티’ (마이클 J. 폭스) 가 우연히 만난 과학자, ‘닥’의 타임머신을 통해 엄마와 아빠가 고등학교를 다니던 시절로 돌아가게 되어 그들과 삼각관계가 될 뻔할 이야기를 그린다.
영화의 이야기적 설정 이외에도 <아담 프로젝트>는 미래에서 온 아담의 무기로 ‘다스베이더’ 검을 그대로 사용하는 대담함(?)을 보인다. 실제 어린 아담이 “그거 다스베이더 검이에요?” 라고 묻는 대사까지 영화 속에 등장하니 <스타워즈>를 의도적으로 차용했음은 명백하다.
앞서 언급했듯, <아담 프로젝트>는 캐릭터, 이야기의 구성, 장르적 설정에 있어 참신함을 보여주지 못한다. 주로 코믹한 캐릭터를 맡아왔던 라이언 레이놀즈 역시 그의 페르소나와 진지한 캐릭터로의 변신 사이에서 어정쩡하게 헤매는 듯한 인상 그 이상을 넘지 못한다. 그럼에도 영화는 일종의 PC 통신시대의 ‘영퀴’를 연상하게 하는 노스탤지어적 매력이 충만하다. <아담 프로젝트> 자체의 매력이 아닐지라도, 그 안에 숨겨진 sci-fi 영화들을 겨냥하는 것 또한 이 영화를 볼만한 충분한 이유가 된다.
김효정 영화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