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규한 <씨네플레이> 기자
완벽하게 몰입할 수 있는 체험형 오락영화
★★★★
마치 1인칭 액션 슈팅 게임을 즐기듯 관객을 주인공의 시점으로 몰입하게 하는 촬영과 연출이 돋보인다. 한정된 공간이 주는 제약을 쉴 틈 없이 벌어지는 사건들로 채워 극적 긴장감을 끝까지 유지한다. 오락적 요소는 흠잡을 데가 없지만, 각 캐릭터가 가진 이야기에 대해서는 친절한 설명이 부족하다. 영화의 속도감에 이끌려가면서도 ‘왜?’라는 질문이 영화가 끝날 때까지 머릿속에 남는다.
이은선 영화 저널리스트
용감한 시도엔 박수, 캐릭터 구축은 아쉬움
★★★
촬영과 화면 구성, ‘탈한국적’ 캐릭터의 활용 등 여러모로 새로운 시도를 감행한 영화라는 점은 높이 살만하다. 제한된 상황에서 긴장감을 잘 이끌어가려 공을 들인 태가 난다. 따라서 이 영화는, 단순 관람에서 체험형으로 점차 선호도가 바뀌어가는 듯한 극장 환경에 대한 하나의 좋은 제안처럼 보이기도 한다. 다만 에이햅(하정우)의 캐릭터 자체에 갸우뚱한 지점이 있다 보니 스토리의 측면에서는 동의가 조금 어려운 작품이기도 하다. 그는 뼛속까지 이기적인 인물인가, 알고 보면 처음부터 그저 이타적인 사람인가. 결정적으로 극 중 너무 자주 그리고 직접적으로 언급되어 오히려 긴장을 반감시키는 듯한 ‘낙하산 에피소드’는 이에 대한 명쾌한 해설이 아니라 오히려 의문을 부추기는 장치로 느껴진다. 오히려 캐릭터가 변화하는 과정의 밀도를 조금 더 높였다면 그의 선택들에 더욱 분명하게 설득되었을 것이다. 극도로 강조된 앰비언스 안에서 캐릭터들의 대사가 이따금씩 뭉개진 채로 전달되는 점도 조금은 아쉬운 대목이다.
이지혜 영화 저널리스트
한국 액션영화의 기술적 성취
★★★☆
김병우 감독은 <더 테러 라이브>에 이어 이번에도 밀폐된 공간을 자신의 편으로 만든다. 벙커가 주는 공간적인 고립과 한반도 정세에서 비롯된 정서적인 고립은 캐릭터를 극한까지 몰아붙이는 한편, 속도와 현장감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한정된 공간에서 액션의 한계 또한 돌파한다. 총격 신을 비롯해 미사일, 고공 폭파 등 한국영화에서 화기를 다루는 데 있어 가장 진보한 기술적 성취를 보여준다.
정시우 영화 저널리스트
‘이야기’ 보다, ‘형식’
★★★☆
김병우 감독은 스토리텔러라기보다 형식주의자에 가깝다. 전작 <더 테러 라이브>에 이어 <PMC: 더 벙커>에서도 그는 이야기 자체보다 이야기를 실어 나르는 방식으로 재미를 추구한다. 한정된 공간, 제한된 시간. 여기에 게임 인터페이스를 적극 끌어안은 화면 구현으로 영화를 ‘체험의 영역’으로 확장시킨다. 다양하게 조각된 카메라 워킹과 스크린을 튕겨대는 사운드의 박력으로 시공간의 제약을 돌파하는 창의성도 수준급이다. 매력뿐 아니라 <PMC: 더 벙커>의 결점도 영화의 브레이크 없는 스타일에서 나온다. 게임 문법이 익숙하지 않거나, 휴식으로서 극장을 찾은 관객들에게 이 영화는 적지 않은 저항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사운드에 힘을 주면서 일부 대사가 뭉개진 것도 득과 실로 쪼개지는 지점. 그러나 ‘남북 관련 소재’가 관성적으로 찍어내는 문법에 함몰하지 않고 그만의 인장을 벙커 안에 박아냈다는 점에서 이 영화의 성취는 결코 가볍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