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석 영화 저널리스트
반도
★★★☆
전작보다 나은 속편이다. 이야기의 타깃이 좀 더 명확해졌다. 장르적 요소도 풍성한데, 기본적으로 정치 스릴러의 톤을 깔고 그 위에 블랙 코미디의 요소를 결합했으며, 밀리터리 액션의 스펙터클로 마무리한다. 복잡한 국제 정세를 두 시간짜리 장르 영화에 담아내다 보면 축약 과정에서 오해를 만들어낼 수 있는데, <강철비 2: 정상회담>은 그런 위험을 무릅쓰고 쉽지 않은 소재에 접근하며, ‘한반도’ 상황에 대한 풍자적이면서도 압축적이고 현실적인 그림을 그려낸다. 부함장 역의 신정근이 인상적이다.
심규한 <씨네플레이> 기자
영리한 풍자와 확실한 볼거리
★★★
한반도에 얽힌 국제 정세와 주변국의 사정을 대담하게 드러내고 명확한 정치적 메시지를 적극적으로 관객에게 전한다. 등장인물의 세세한 묘사가 한국과 북한은 물론, 미국과 일본, 중국에 대한 재치 있는 풍자로 읽힌다. 자신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 흔들림 없이 밀고 가는 양우석 감독의 의지가 제대로 반영됐다. 심해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잠수함 액션의 긴박감이 관객을 압도하는데 신정근 배우의 활약이 눈부시다. 영화 후반부의 긴박감은 오직 그의 단단한 연기 덕분이다. 묵직한 소재가 주는 부담을 블랙코미디로 해소하려는 시도가 영화적 재미를 더하는 데 효과적이지만 어떤 면에서는 쓸모 적은 사족처럼 느껴진다.
정시우 영화 저널리스트
도발적인 소재를 파고드는 뚝심
★★★☆
정치적 발언에 소극적인 한국 상업영화 안에서 감독의 세계관이 모의실험 형식으로 가장 적극적으로 구현된 결과물. 양우석 감독은 자신이 무엇을 그리고 싶은지 명확히 알고 있으며, 다소 억지스럽다 할지라도 마음 먹은 것을 밀어붙이는 뚝심을 지녔다. 국제정세에 대한 깊은 식견과 고민이 드러나는 대목들에서는 도발적인 소재를 단순한 소재주의로 활용하는 데 그치지 않고 있다는 인상을 안긴다. 그러나 정치적 이해관계가 얽히는 초반부엔 자칫 수업 시간에 홀로 진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심정을 느낄 수 있으니 정신 단단히 차려야 한다. 선실에서 이뤄지는 남북미 세 정상의 유머 치사율은 그리 높지 않지만, 잠수함 영화로서의 장르적 쾌감을 기대 이상이다. (신정근, 멋지다!) 메시지를 직언하는 에필로그는 득만큼 실도 많은 선택이다.
정유미 <더 스크린> 에디터
전편보다 뛰어난 속편
★★★☆
전편의 줄기들을 가져오되 판을 더 키웠다. 북한에서 쿠데타가 벌어진다는 설정, 강대국들의 이해타산에 맞물린 북핵 문제, 주연배우 정우성과 곽도원의 재 캐스팅까지 1편과 연결 고리를 만들어놓고 한미일 정상의 납치극, 핵잠수함 소재, 역할 바꾸기라는 강수를 둔다. 결과는 성공적이다. 자칫 황당할 법한 납치 설정은 블랙 코미디로 풀어가고, 핵잠수함 액션 장면은 ‘한국형’을 붙이지 않아도 웰메이드 잠수함 영화들과 견줄 만하다. 전편과 다른 역할을 맡은 정우성과 곽도원의 의미 있는 격돌, 유연석과 앵거슨 맥페이든의 연기도 기대 이상이지만 신정근의 활약은 단연 수훈감이다. 블록버스터의 볼거리와 재미를 추구하면서 동시에 의미심장한 질문으로 현실 감각을 일깨우는 영화.
이지혜 영화 저널리스트
박진감 넘치는 물밑 정치
★★★
<강철비2: 정상회담>의 목적은 전편보다 분명해졌다. 웹툰부터 이어진 양우석 감독의 ‘스틸레인’ 세계관은 현실 정치를 끌어들이면서도 가감하거나 재편하면서 영화적 재미를 더한다. 실제 남과 북, 미 지도자들의 개성을 반영한 캐릭터와 국제 정세를 각색한 상황은 영화가 가지고 있는 통일에 대한 열망을 한층 더 선명하게 부각시킨다. 박진감 넘치는 와중에 남과 북의 정서적인 통일 또한 놓치지 않는 잠수함 액션이 단연 돋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