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났지만 아직 끝나지 않은 수능... 고개를 들어 이 영화를 볼 것!
2024학년도 수능이 끝이 났다. 매해 칼바람으로 수험생들의 어깨를 굳게 했던 수능 한파도 없이 비교적 훈훈한 날씨였다. 필자에게 수능이란 까마득한 기억이지만 분명한 것은 당시에는 그것이 인생의 전부와 같아 어스름한 저녁 수능장을 나오면서 형용할 수 없는 감정을 느꼈다는 것이다.
2024학년도 수능이 끝이 났다. 매해 칼바람으로 수험생들의 어깨를 굳게 했던 수능 한파도 없이 비교적 훈훈한 날씨였다. 필자에게 수능이란 까마득한 기억이지만 분명한 것은 당시에는 그것이 인생의 전부와 같아 어스름한 저녁 수능장을 나오면서 형용할 수 없는 감정을 느꼈다는 것이다.
드디어 수능이 끝났다. 수험생 여러분, 그동안 수고 많으셨습니다. 이제는 그동안 보지 못했던 영화, 드라마, 예능 정주행 들어가며 신나게 수능 스트레스를 풀길 바란다. 그래서일까. 유독 이번 주에 기대작들이 OTT에 대거 나왔다.
영화, 드라마 등이 매일, 매주 신작들이 쏟아지지만, 시트콤은 요즘 보기 힘들다. 8090년대 생에게 시트콤은 추억과 같다. 취침 전 각 방송사에서 나오는 시트콤을 보고 크게 웃은 뒤 기분 좋은 내일을 맞이했던 기억이 다들 하나씩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일까.
보통의 가족 감독 허진호 출연 설경구, 장동건, 김희애, 수현 이은선 영화 저널리스트 자식의 죄, 나의 도덕 ★★★★ 자식이 괴물이면 부모는 자기 안의 악마를 꺼낸다. 끝없이 부도덕한 추락, 잘못된 선택들, 뻔뻔한 이기심이 고개를 든다.
배고픈 중년 아저씨가 식당에 들어선다. 늘 그랬듯 혼자다. 사전 조사한 메뉴판을 마치 고3 수험생이 공부하듯 뚫어져라 쳐다본다. 요리 가짓수는 많지만, 한 끼에 먹을 수 있는 분량은 정해져 있다. 마침내 아저씨는 대학 입학원서를 내는 것처럼 중요한 결정을 내려 음식을 주문한다.
이제는 OTT 플랫폼의 보급으로 제 시간에 같은 장소에서 드라마는 보는 일이 흔하지 않다. 그러나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시간이 되면 가족이 다 모여 같은 드라마를 보는 시간은 가족과 함께하는 소중한 일상이나 다름없었다.
출신 대학이나 수능 성적이 한 사람에 대해 말해주는 건 사실 그리 많지 않다. 이 사람이 얼마나 선량한 사람인지, 취향은 어떻고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은 어떤지, 평상시 행동거지는 어떻고 타인을 대하는 태도는 어떤지… 그럼에도 우리는 매년 11월이면 올해 수능은 어땠는가에 대한 이야기를...
수능이 끝났다. 그동안 고생한 모든 수험생들에게 수고했다는 말을 먼저 전한다. 앞으로도 각자 입시 일정은 있겠지만 당분간 맛있는 거 많이 먹고 신나게 이 시간을 즐겼으면 좋겠다. 거기에는 OTT 화제작 정주행도 빠질 수 없을 것이다.
시간의 흐름 속에서, 멈춰있는 것은 없음을 실감하는 때가 있다. 예컨대 나에겐 여전히 청춘인 배우가 자식을 향한 부모의 애틋함과 절절함을 연기하는 순간 같은. 얼마 전에는 <무빙>에서 아빠가 된 조인성을 보고 가슴이 웅장해졌다.
3월 셋쩨 주 OTT 신작 (3/24~31)...
해시태그 시그네감독 크리스토퍼 보글러출연 크리스틴 쿠아트 소프, 아이릭 새더, 앤더스 다니엘슨 리...
2022년 11월 3주 차 (11/19~11/25)...
“졸업하니까 애들하고 멀어지는 거, 그게 정말 섭섭하다. 학교 다닐 때가 좋았는데. ” <고양이를 부탁해>(정재은, 2001)의 주인공은 교문 밖 세상에서 각자 고단한 걸음을 내딛기 시작한 스무 살 아이들이었다.
공부부터 각종 운동에 이르기까지 이른바 ‘동기 부여 영상’ 중엔 누적 조회수 수백만 건을 넘긴 콘텐츠들도 있다. 시원하게 욕 잘하거나 수험생보고 ‘빨리 집어치우라’며 직언하는 인강 영상, 연예인들이 강연 등 자리에서 한 이야기들을 편집해 모은 영상들이 밈(meme)으로 유행한다.
수능이 코앞으로 다가왔지만,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살얼음판을 걷는듯한 긴장감이 흐른다. 올 한 해를 휩쓴 코로나가 더없이 야속하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속되면서 일상의 소소한 즐거움을 잃은 어른들도 현재의 시국이 답답하기만 한데, 입시 준비도 학교생활도 혼란스러운 학생들은 오죽할까.
신세경의 유튜브 채널은 지난주 구독자 수 100만 명을 넘겨, 박서준에 이어 국내 배우 중에서는 두 번째로 골드 버튼을 받았다. 안소희, 강소라는 최근 유튜브를 시작했다. 작품 밖 스타의 일상에 대한 궁금증을 나름대로 해소해주고 있는 유튜브 브이로그, 전에는 없었을까.
<불량한 가족> 걸그룹 에이핑크의 리더 박초롱이 영화 <불량한 가...
<국도극장> <국도극장>...
역사 속 왕 중 가장 많이 영화화(드라마화) 된 인물은 누굴까. 언뜻 떠오르는 인물은 정조, 그리고 세종대왕이다. 세종대왕 이야기는 스테디셀러다. 올해에만 두 편의 세종대왕 소재 영화가 개봉한다. 역대 세종대왕 연기한 배우들의 면면을 모았다.
황금종려상의 영예를 안은 <기생충>에 세계의 관심이 집중됐다. 한국 영화계의 도약을 기뻐하지 않을 수 없지만, 실은 한국 관객들이 더 기뻐했으면 하는 부분이 따로 있다. 바로 그 <기생충>을 우리는 번역 없이 온전한 언어로 느끼고 이해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