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기사 카테고리

Movie & Entertainment Magazine from KOREA
>NEWS

넷플릭스 올해 글로벌 예산 중 한국 콘텐츠 비중 약 6% 추정, 5년 내 15%로 확대 전망

데일리뉴스
데일리뉴스
넷플릭스 '중증외상센터' [넷플릭스 제공]
넷플릭스 '중증외상센터' [넷플릭스 제공]

넷플릭스의 글로벌 콘텐츠 전략에서 한국 콘텐츠가 차지하는 비중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올해 전체 예산의 6.48%를 차지하는 한국 콘텐츠는 2030년에는 약 15%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미디어 연구소 K엔터테크허브가 2일 발표한 분석에 따르면, 미국 대중문화 전문지 버라이어티가 추정한 넷플릭스의 2024년 글로벌 콘텐츠 예산은 약 96억5천만 달러(한화 13조8천799억원)에 달한다.

넷플릭스는 2023년부터 2026년까지 한국 콘텐츠에 총 25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며, 이는 연간 약 6억2천500만 달러 규모로 추산된다. 이를 바탕으로 계산하면 올해 글로벌 예산 대비 한국 콘텐츠 비중은 6.48%에 이른다.

콘텐츠 수요 측정 기업 패럿애널리틱스의 자료에 따르면, 넷플릭스 전체 콘텐츠 중 한국어 콘텐츠의 비중은 2020년 2%에서 2024년 6.8%로 크게 증가했다.

현재 한국어 콘텐츠는 영어와 스페인어에 이어 3위를 차지하고 있다. 일본 콘텐츠가 5.1%로 4위를 기록하고 있으나, 주로 애니메이션에 집중되어 장르 다양성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러한 성장세를 단순 추세로 계산하면 2030년 한국어 콘텐츠 비중은 약 29.5%까지 증가할 수 있으나, "문화 상품은 이런 기계적 성장을 하지 않기 때문에 영어 외 가장 큰 점유율을 가진 스페인어 콘텐츠를 고려하면 한국 콘텐츠의 글로벌 비중은 10~15% 정도로 추산된다"고 분석했다.

주목할 점은 한국 콘텐츠가 투자 규모 대비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성공 요인 중 하나로 한국 드라마의 제작 형식이 꼽힌다.

미국 드라마가 여러 시즌으로 제작되는 것과 달리, 한국 드라마는 대부분 한 시즌으로 완결되는 경향이 있다. 넷플릭스에서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공개된 한국 프로그램 중 29%만이 두 번째 시즌이 제작되었으며, 이는 K콘텐츠의 다양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넷플릭스는 K콘텐츠의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오징어 게임>과 같은 인기 작품을 다시즌으로 확장하는 전략을 시도하고 있다.

넷플릭스의 다국어 콘텐츠 라이브러리는 구독자 유지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특히 아시아 지역에서 구독 해지율을 낮추는 데 한국 콘텐츠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