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기사 카테고리

Movie & Entertainment Magazine from KOREA
>영화

'극단의 선택 앞에 선 인간과 믿음의 양면성' 넷플릭스 〈계시록〉리뷰

이진주기자
넷플릭스 〈계시록〉
넷플릭스 〈계시록〉

연상호는 도무지 쉬는 법이 없다. 지난해 넷플릭스 시리즈 <선산>, <기생수: 더 그레이>, <지옥2>를 연달아 공개하더니 불과 5개월 만에 <계시록>으로 돌아왔다. 그리고 현재(2025년 3월) 또 다른 프로젝트 <군체>를 촬영 중이다. 전지현과 구교환이 주연을 맡은 이 작품은 정체불명의 바이러스 사태 속에서 생존을 위한 분투를 그린다.

오는 21일 공개되는 넷플릭스 영화 <계시록>은 작은 교회를 운영하는 목사 성민찬(류준열)과 끔찍한 범죄로 동생을 잃은 형사 이연희(신현빈)의 신념과 의심이 충돌하는 과정을 담는다. 믿음과 도덕, 욕망과 분노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기울어질 때 인간의 선택은 어디로 향하는가.

* 이하 <계시록>의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넷플릭스 〈계시록〉
넷플릭스 〈계시록〉

신념과 현실, 경계에서 흔들리는 두 인물

민찬(류준열)은 아내와 함께 작은 마을에서 교회를 운영하는 목사다. 그는 ‘세상’에 흔들리지 않겠다 다짐하며 신의 뜻에 따라 살고자 하지만 현실은 그의 믿음을 시험한다. 교회의 재정은 바닥을 기고 천장에서는 물이 샌다. 설상가상 근처에 대형교회가 들어선다. 신앙은 인간을 구원할 것인가, 아니면 믿음마저도 현실의 논리에서 자유롭지 못한가. 민찬은 이 질문을 자신의 방식대로 답하려 한다.

한편, 형사 연희는 동생을 잃고 강력계로 복직했다. 표면적으로는 일상으로 돌아온 듯 보이지만 내면은 파괴된 상태다. 동생의 죽음은 그에게 지워지지 않는 트라우마로 남아 있으며, 그의 원인이 된 범죄자 권양래를 집요하게 쫓는다. 그리고 끊임없이 보이는 동생의 환영은 연희를 향해 속삭인다. "죽여"

넷플릭스 〈계시록〉
넷플릭스 〈계시록〉

설계된 실험실, 주어진 고통

영화는 사건의 흐름보다 인물의 내면과 선택에 집중한다. 연상호는 두 주인공을 극단적인 상황 속에 밀어 넣고 그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지켜본다. 문제는 그 과정이 지나치게 설계된 실험처럼 보인다는 점이다.

<계시록>의 초반부는 마치 완벽하게 설정된 실험실처럼 짜여 있다. 신념과 욕망이 충돌할 수밖에 없는 조건이 이미 완비된 상태에서 영화는 시작된다. 민찬은 신이 예비했다는 이유로 자신의 욕망을 신앙으로 정당화하고, 연희는 정의라는 명분 아래 복수심에 점점 잠식되어 간다. 이들의 갈등은 촘촘하게 설계되어 있지만 정해진 궤도를 따라가며 감정을 소모하게 만든다. 영화 속 인물들은 <계시록>이라는 거대한 운명 앞에서 예정된 고통을 감내할 수밖에 없는 존재들처럼 보인다.

넷플릭스 〈계시록〉
넷플릭스 〈계시록〉

 

연상호의 시선, 반복되는 종교적 탐구

연상호는 <부산행>(2016) 이후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을 넘나들며 꾸준히 종교적 신념과 인간 심리의 충돌을 탐색해왔다. 특히 애니메이션 <사이비>(2013), 넷플릭스 시리즈 <지옥>(2021), 영화 <방법: 재차의>(2021) 등은 종교를 전면에 내세우며 인간의 믿음이 어떻게 조작되거나 왜곡될 수 있는지를 이야기한다. <사이비>에서는 순진한 마을 사람들을 선동하는 사이비 교주를, <지옥>에서는 초자연적 현상을 이용해 대중을 통제하는 신흥 종교 세력을 조명했다.

민감한 소재를 다루는 만큼 연상호는 여러 인터뷰에서 '교회를 다닌다'고 밝히며 종교적 믿음에 대한 그만의 시각을 드러내왔다. 그런데 이번 작품은 한층 더 날카롭다. 연상호가 그간 거시적 관점에서 영화적 문법을 통해 종교를 탐색했다면, <계시록>은 개인의 신앙적 의문을 정면으로 조명한다. 개인이 자신의 신앙을 어떻게 이용하는가에 대한 물음표를 던지는 것이다.‘이것이 정말 하나님의 뜻인가?’

민찬이 믿음 속에서 자신의 욕망을 정당화하는 순간, 연희가 신념과 복수 사이에서 흔들리는 순간, 영화는 관객에게 신앙과 도덕의 본질에 대해 고민할 것을 요구한다. <계시록>은 연상호의 기존 작품보다 더 직접적으로 신앙의 본질을 해체하려 한다. 특히 개인적 신앙이 어떻게 현실의 이해관계 속에서 변질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며 믿음의 양면성을 강조한다. 신앙은 때때로 인간이 가진 가장 순수한 믿음이지만 동시에 가장 쉽게 왜곡될 수 있는 영역이기 때문이다.

넷플릭스 〈계시록〉
넷플릭스 〈계시록〉
넷플릭스 〈계시록〉
넷플릭스 〈계시록〉

두 배우의 연기를 통해 구축된 긴장감

"<계시록>에서 배우들의 연기력이 다른 어느 작품보다 중요했다." 연상호 감독이 직접 언급한 이 말처럼, 이 영화의 긴장감은 상당 부분 두 주연배우 류준열과 신현빈의 몫이 크다. 류준열은 유약한 인간과 성실한 목회자의 경계를 넘나드는 민찬을 연기하며, 그의 혼란스러운 내면을 세밀하게 표현했다. 그는 "시시각각 변하는 복잡한 내면의 파동에 집중했다"고 밝힌 바 있다. 그의 연기는 민찬이 신념을 유지하려 애쓰는 순간과 욕망을 정당화하는 순간 사이의 균형을 만들어낸다. 한편, 신현빈은 연희를 냉혹한 현실 앞에서 무력한 존재로 시작해 인간 내면의 강인성을 상징하는 인물로 완성시켰다. 그녀는 연희의 심리적 변화 과정을 섬세하게 밟아나가며, 시청자가 그의 감정을 따라갈 수 있도록 설득력을 부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