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깊은 밤 갑자기〉부터 〈파묘〉까지. 한국 오컬트 영화의 계보
오컬트 영화하면 떠오르는 이미지가 있다. 악령에 씐 금발 소녀나 퇴마하러 온 신부님 등 대다수의 한국인에게는 다소 낯선 정서다. 기독교, 천주교가 익숙한 서구권과 달리, 한국인은 한국인만의 정서가 분명 존재한다.
오컬트 영화하면 떠오르는 이미지가 있다. 악령에 씐 금발 소녀나 퇴마하러 온 신부님 등 대다수의 한국인에게는 다소 낯선 정서다. 기독교, 천주교가 익숙한 서구권과 달리, 한국인은 한국인만의 정서가 분명 존재한다.
포스터만 보면 치정 멜로다. 이거 홍상수 감독님 영화 아닙니다....
"어떻게 <시민 케인>을 안 볼 수 있죠?" "그러는 당신은 <사운드 오브 뮤직> 봤어요?"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브래드 피트, 마고 로비가 나눈 대화다.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브래드 피트는 <사운드 오브 뮤직>을 본 적이 없고, 마고 로비도 <시민 케인>을 안 봤다며 놀림을...
영화 <범죄도시 2>가 개봉 25일 만에 천만 관객을 돌파했다. 코로나19 팬데믹을 통과하면서 극장 산업이 커다란 타격을 입으면서 앞으로 천만 영화는 나오지 않을 거라는 예상을 보기 좋게 뛰어넘은 희소식이었다.
<월하의 공동묘지>(1967)....
(왼쪽부터) <서복>, <자산어보>...
드디어. 지난 12일 진행된 언론시사회를 통해 <서복>이 베일을 벗었다. '드디어'라는 말이 절로 나올 만큼, <서복>을 보기까지 참으로 오랜 시간이 걸렸다. 작년 12월 개봉을 못 박은 <서복>은 '코로나19 재확산'이라는 악재와 맞물려 길을 잃었고, 꽤나 긴 시간 침묵을 이어왔다.
<서복> 마침내 개봉이다.
2000년대를 상징하는 키워드 중 빠질 수 없는 것, 바로 ‘얼짱’이다. 하두리캠, 싸이월드 등이 유행하며 셀카 열풍이 번지기 시작했고, 연예인만큼 뛰어난 외모를 자랑하는 이들이 ‘얼짱’이라 불리며 많은 팬을 끌어모았다.
“넌 좋겠다. 그냥 쳐다만 봐도 심장을 움직이는 눈빛을 가져서.” -안정하(박소담)...
“혹시 전반은 버린 거냐. ” 만화 <슬램덩크>에 등장했던 이 대사를 지금 한국 영화계에 적용해도 될까. 코로나19 사태로 2020년 상반기, 국내 극장 및 영화산업 전반이 얼어붙었다.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이 아카데미 시상식을 휩쓸던 그때가 아득히 멀게만 느껴진다.
<신문기자>...
심은경이 <신문기자>로 일본 최고의 권위를 가진 영화상인 '일본 아카데미'에서 여우주연상을 거머쥐었다. 시상식이 열리기 전부터 유력한 후보로 거론됐을 만큼, 심은경의 출중한 연기력에 대한 칭찬이 자자했던 작품이다.
코로나19 확산세가 주춤하다. 그래도 마음 놓기엔 이르다. 여전히 3~4월에 개봉하기로 한 영화들이 언제 스크린에 걸릴지 알 수 없다. <007 노 타임 투 다이>가 11월로 개봉을 연기한 것처럼 말이다. 그러다 문득 이 여파가 길어지는 게 아닐까 하는 몹쓸 상상의 나래를 펼쳐봤다.
<극한직업> 맛깔난 대사로 유명한 이병헌 감독의 <극한직업>으로...
아역으로 커리어를 시작한 배우들이 넘어야 할 가장 큰 산, 바로 ‘아역 출신’이란 꼬리표를 떼는 일이다. 문근영, 유아인, 박신혜 등 성공적인 성장 사례를 남긴 배우들을 이어, 1990년 이후 출생한 배우들 역시 각자의 작품 속에서 성인 배우로서 색다른 모습을 선보이고 있다.
1978년작 <할로윈>의 주연배우들이 40년 만에 그대로 복귀한 <할로윈>. 1986년작 <여곡성>을 32년 만에 리메이크한 <여곡성>. 제목마저 동일하게 지으며 ‘고전의 맥을 잇는다’는 정체성을 띤 동서양의 두 공포영화가 함께 극장에 걸렸다.
<속닥속닥> <속닥속닥>은 올해 여름 극장가를 찾은 유일한 한국...
(왼쪽부터) 이해영 감독의 <독전>, <천하장사 마돈나> 좋아하는...
<실크> 한국계 슈퍼히어로의 탄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