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기사 카테고리

Movie & Entertainment Magazine from KOREA
>OTT&시리즈

데뷔 앨범으로 차트 1위한 아이돌!? 아는 사람만이 낼 수 있는 깊은맛 특식 〈케이팝 데몬 헌터스〉

성찬얼기자
〈케이팝 데몬 헌터스〉
〈케이팝 데몬 헌터스〉


수많은 매체, 수많은 작품. 상향 평준화된 산업과 쏟아지는 신작 사이에서 이제는 ‘될 것 같다’는 느낌을 단번에 주는 작품을 만나기 쉽지 않다. 훌륭한 영상미, 화려한 출연진, 참신한 스토리에도 눈길을 확 끌 수 있는 예고편은 적고, 그중에서도 성공을 가늠할 수 있는 작품은 더 적다. 고백한다. 필자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 공식 예고편이 뜨자마자 곧바로 직원들에게 링크를 공유했다. 이유는 간단했다. 저승사자가 “전략을 바꿔야 합니다”란 대사를 한 직후 갑자기 리듬에 맞춰 춤추기 시작할 때, 그리고 인간 아이돌로 등장할 때, 이 작품은 ‘뭔가 다르다’는 걸 느꼈기 때문이다. 그리고 6월 20일 공개한 넷플릭스 오리지널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아니나 다를까 넷플릭스조차도 깜짝 놀랄 만한 성적으로 시청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 이 모습이
〈케이팝 데몬 헌터스〉 이 모습이
이 모습으로 바뀔 때 ‘될 작품’임을 느꼈다.
이 모습으로 바뀔 때 ‘될 작품’임을 느꼈다.


시청자들이 특히 놀란 부분은 이 영화가 ‘한국산’이 아니란 점이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한반도를 보호하고자 결계 ‘혼문’을 완성하려는 아이돌 겸 퇴마사 ‘헌트릭스’와 그들을 저지하려는 저승사자 5인조 ‘사자보이즈’의 맞대결을 그린다. 케이팝, 한반도, 흥의 민족다운 노래하는 퇴마사, 그리고 수많은 한국의 풍경. 그럼에도 이 영화는 한국 제작사가 아닌 미국의 ‘소니픽처스 애니메이션’이 제작했다. 이들은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 시리즈와 (이번 영화처럼 넷플릭스가 배급한) <미첼 가족과 기계 전쟁>을 선보이며 근래 장편 애니메이션의 스타일을 재정립한 ‘트렌드세터’이다. 그리고 그 노련한 기획과 연출이 이번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서도 고스란히 녹아든 셈이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
〈케이팝 데몬 헌터스〉

 


사실 그렇기에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예고편을 공개하기 전까지는 기대보다 우려와 걱정이 더 많았다. 미국의 회사가 만드는 케이팝 아이돌 애니메이션이라니. 그저 케이팝의 인기에 편승해 ‘한탕’ 노리려는 기획영화일 거란 시선이 많았다. 애초 케이팝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영화나 드라마도 쉽지 않은데, 심지어 퇴마사라는 설정을 곁들인 애니메이션이라니. 소니픽처스 애니메이션이란 이름이 주는 든든함에도 큰 기대를 모으기엔 역부족이었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  민화 속 이미지를 꼭 빼닮은 호랑이
〈케이팝 데몬 헌터스〉 민화 속 이미지를 꼭 빼닮은 호랑이

 


그러나 예고편에서 보이듯, 6월 20일 공개한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특히 한국적 요소와 케이팝에 대한 이해도가 가장 선명하게 드러났다. 단순히 ‘케이팝’을 차용한 것을 넘어 ‘본격적인 한류 영화’였다. 영화 시작에서부터 도깨비와 저승사자, 그리고 (무척 과장됐지만) 한국 복식 같은 고전적인 요소부터 응원봉 문화, 김밥·라면·어묵탕·새우깡 등 현대 문화까지 단번에 짚어내는 솜씨가 남다르다. 한국인이 보기에도 신기할 지경이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 저 상에 올라온 음식부터가 심상찮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 저 상에 올라온 음식부터가 심상찮다.


이처럼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한국문화를 진심으로 담아낸 부분은 이 영화를 기획·연출한 메기 강 감독의 인터뷰에서 그 의중을 읽을 수 있다. 메기 강은 처음부터 케이팝이나 퇴마사를 주제로 삼은 것이 아니라 “우리 문화에 대한 애니메이션”을 만들고 싶었다고 한다(그는 한국에서 태어나 5살 때부터 캐나다에서 살았다). 그렇기 때문에 작품을 만들 때 가장 기본적이지만, 최근 영화계에선 종종 무시당하는 ‘대상에 대한 이해’가 기반이 될 수밖에 없었던 것. 그리고 이렇게 한국문화를 정확하게 작품에 스밀 수 있는 노하우는 확실하다. 바로 한국인, 한국계를 비롯해 동양문화에 이해도가 높은 스태프들을 포진시킨 것이다. 영화를 연출하고 그 원안과 각본을 쓴 메기 강 감독을 중심으로 제작, 프로덕션 디자인, 아트 디렉터 등 영화의 지향점을 완성시킨 제작진에서 한국인, 한국계, 아시아계 인사들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이런 그들의 진심은 헌트릭스의 루미, 미라, 조이 삼인방을 모두 한국계 배우(아덴 조, 메기홍, 지영 윤)로 구성하고 안효섭, 이병헌, 김윤진 등 한국인 배우를 원어 캐스트에 합류시킨 것에서도 읽을 수 있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 무대의 배경 영상이 일월오봉도
〈케이팝 데몬 헌터스〉 무대의 배경 영상이 일월오봉도


상찬이 길었다. 백문이 불여일견, <케이팝 데몬 헌터스>를 재밌게 볼 수 있는 가이드를 제공하겠다. 한국이 배경이라 한국어 더빙이 정석이라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웬만하면 원어, 즉 영어 더빙으로 보길 권한다. 수록곡 대다수가 영어와 한국어를 혼용하기에, 대사에서 노래로 넘어갈 때 영어인 쪽이 이질감이 덜하다. 또 영어 더빙에서도 (예고편의 ‘라면’처럼) 한국어 그대로 읽는 경우가 종종 있어서 소소한 재미가 있다(“가자가자가자!”). 진우가 처음 등장하며 읊는 시 또한 원어 영어 라임이 귀에 착 붙는다(control-souls-cold). 물론 한국성우들의 열연도 훌륭하기에 한국어 더빙도 좋은 선택이다. 출연진 중 이병헌은 영어 더빙, 한국어 더빙 모두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