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TV+〈더 로스트 버스〉, 매튜 맥커너히 6년 만의 복귀작
매튜 맥커너히 “이 영화로 다시 연기의 즐거움 느꼈다”
매튜 맥커너히 주연의 액션 영화 <더 로스트 버스>가 올가을 애플TV+를 통해 공개된다. '인디와이어'에 따르면, 애플이 최근 <더 로스트 버스>의 티저 예고편을 공개했다. 해당 작품은 미국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산불 참사 중 하나에서 영감을 받은 실화 기반 영화로,...
매튜 맥커너히 “이 영화로 다시 연기의 즐거움 느꼈다”
매튜 맥커너히 주연의 액션 영화 <더 로스트 버스>가 올가을 애플TV+를 통해 공개된다. '인디와이어'에 따르면, 애플이 최근 <더 로스트 버스>의 티저 예고편을 공개했다. 해당 작품은 미국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산불 참사 중 하나에서 영감을 받은 실화 기반 영화로,...
SNS, 출퇴근길 직캠, 라이브방송…. 이제는 스타의 일상도 함께 하기 쉬운 시대가 됐다. 그래도 배우는 언제나 작품으로 말하는 법. 배우가 어떤 작품을 하는지, 혹은 어떤 캐릭터를 하는지에 따라 대중이 그를 얼마나 기억나는지가 결정되곤 한다.
4월 둘째 주 OTT에는 작년 극장가를 뒤흔들었던 두 편의 작품이 시청자와 만난다. 오스카 작품상을 휩쓴 놀란 감독의 프로젝트와 <명량>부터 이어진 이순신 장군 3부작의 마지막이 그 주인공이다. 여기에 괴수로부터 인류를 지키기 위해 스스로 괴수가 된 주인공의 운명과, 다시 한번...
최고의 필름 포맷, 그 룩을 그대로 관찰할 수 있는 현존 최고의 물리매체
※ 하기의 스크린샷은 리사이즈 과정을 거친 이미지로 원본과 상이함을 미리 밝힙니다-편집자 주 지난해를 돌이켜보면, 크리스토퍼 놀란의 <오펜하이머>(2023)를 올해의 영화 중 하나로 꼽는데 이의를 제기할 분은 그리 많지 않으리라 짐작해봅니다.
'야없날'을 버틸 생각에 막막한 야구 팬이라면 봐야 할 야구 영화
한, 미, 일 모든 야구의 시즌이 끝났다. 올해 전 세계 프로야구를 한 문장으로 요약하자면, ‘온 우주의 기운이 모여 성불에 성공한 한 해’라는 말이 가장 잘 어울릴 것이다. 메이저리그에서는 창단 후 가장 오랜 기간 단 한 번도 월드시리즈 우승에 도달하지 못했던 텍사스 레인저스가...
<더 문>...
시간은 흐른다. 우리의 바람에도 무색하게, 시간은 흐르고 우리의 우상도 나이가 들어간다. 9월 18일엔 변희봉 배우와 노영국 배우가 세상을 떠나 관객들을 눈물 짓게 했는데, 9월 21일(한국시간)은 영국의 대배우 마이클 케인이 “이제 제대로 걷기도 어렵다”며 사실상 은퇴를 선언해...
개봉 영화 리스트 중 유독 눈에 띄는 제목이 있다. 바로, <잔고: 분노의 적자>(2022)다.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의 <장고: 분노의 추적자>(2012)를 패러디한 이 영화는 한국에서 C급 영화를 고집하는 감독, 백승기의 5번째 장편 영화다.
히치콕의 <싸이코>의 이 명장면은 무려 77번의 촬영에 걸쳐서 제작되었다....
<오펜하이머> 한국인이 좋아하는 영화감독, 크리스토퍼 놀란이 <테...
불타는 IMAX와 크리스토퍼 놀란의 연대기 (1/3) 필름이 곧 영화와 동의어이던 시절부터, 영화의 화질을 높이려는 열망은 오래전부터 있어왔다. 과거 영화 . . .
<오펜하이머>(2023) <인터스텔라>(2014), <테넷>(20...
<오펜하이머>로 돌아오는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
사진제공 CJ ENM...
“내일 지구가 멸망하더라도 나는 오늘 한 그루의 사과나무를 심겠다. ” 17세기 네덜란드의 철학자 스피노자의 명언으로 알려진 문구다. 만약 정말 내일 종말이 도래한다면 태연하게 나무를 심을 수 있을까. 공포와 슬픔에 잠식되는 사람이 대부분일 것이다.
<레이더스> <인디아나 존스...
물리적인 실체가 주는 낭만이 있다. 아무리 필름 영화의 시대는 갔다지만, 그래도 여전히 필름 영화를 굳이 고집하는 사람들이 있다. 2020년대에도 여전히 아날로그 방식대로 찍은 영화가 속속들이 개봉하고 있다. 그래서 모아봤다. 2020년대 개봉 영화 중, 필름으로 찍은 영화.
영국의 영화 잡지 「엠파이어」가 지난 1월, '위대한 영화 100편'을 소개했다. 영화 줄 세우기면 머리가 지끈거리는 사람이더라도, 이번 순위는 꽤 재밌게 볼 수 있다. 「엠파이어」는 대대로 편집부에서만 영화를 선정하지 않고 독자들의 투표까지 포함해서 순위를 발표하기 때문.
어느덧 2023년의 한 달이 지났다. 새해가 밝은 지 고작 일주일밖에 되지 않은 것 같은데 체감과 다르게 흘러가는 시간이 야속할 뿐이다. 그래도 올 한 해가 기대되는 유일한 이유는 매년 그래왔듯 영화가 있기 때문이 아닐까.
팬아트는 예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