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유내강 20주년 기획전, 류승완 감독의 세 영화 돌려보기 ③ : 〈베를린〉(2013)
※ 외유내강 20주년 기획전에 대한 글은, 아래 <부당거래>에 대한 두 번째 글에서 이어집니다. <모가디슈>와 <베테랑> 시리즈로 이어지는 워커홀릭의 세계 <베를린> <베를린>에서 하정우는 세 편의 영화를 찍는다.
※ 외유내강 20주년 기획전에 대한 글은, 아래 <부당거래>에 대한 두 번째 글에서 이어집니다. <모가디슈>와 <베테랑> 시리즈로 이어지는 워커홀릭의 세계 <베를린> <베를린>에서 하정우는 세 편의 영화를 찍는다.
<미션 임파서블> 시리즈의 8편,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가 5월 17일 개봉해 한국관객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정보기관 특수요원 에단 헌트(톰 크루즈)의 고군분투를 그린 해당 시리즈는 톰 크루즈의 대표작이자 그의 ‘하고 싶은 거 다 해보는’(. ) 시리즈로 많은 사랑을 받았다.
4월 1일은 또 돌아온다. 해마다 재개봉 영화의 중심에 서 있는 배우가 바로, 2003년 4월 1일 세상을 떠난 홍콩의 가수 겸 배우 장국영이다. 그 미모를 일컬어 미목여화(眉目如畵), 즉 ‘눈과 눈썹이 그림을 그려놓은 것처럼 아름답다’고 했을 정도로 그만의 독특한 매력으로...
한때 한국 극장가가 이른바 ‘학원물’로 넘쳐나던 때가 있었다. 이미연 주연, 강우석 감독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잖아요>가 1989년 7월에 개봉해 단관 개봉으로 20만 관객을 동원하며, 그해 한국영화 흥행 3위를 기록했다.
오우삼 감독이 자신의 작품을 스스로 리메이크.. 〈첩혈쌍웅〉의 성별 반전 버전
<첩혈쌍웅>이 2024년 버전으로 재탄생했다. 오우삼 감독은 자신의 고전 <첩혈쌍웅>(1989)을 할리우드에서 스스로 리메이크했다. 지난 17일(현지시간) 예고편이 공개된 영화 <더 킬러>(The Killer)는 <첩혈쌍웅>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으로, 오우삼 감독이...
<원더랜드>에서 탕웨이의 엄마로 나오는 배우는 바로 홍콩영화계를 대표하는 대배우 중 한 명인 포기정(鲍起静, Paw Hee Ching, Nina Paw)이다. 죽은 사람을 인공지능으로 복원하는 ‘원더랜드’ 서비스가 일상이 된 미래, 어린 딸에게 자신의 죽음을 숨기기 위해 원더랜드...
일본영화 축제였다. 구로사와 기요시와 고레에다 히로카즈, 그리고 하마구치 류스케, 그렇게 세 명의 일본 감독이 무대를 가득 채웠다. 지난 3월 10일 홍콩 시취센터에서 열린 제17회 아시아필름어워즈(Asian Film Awards)에서 하마구치 류스케의 <악은 존재하지 않는다>가 최고...
“그것이 홍콩이니까요.”...
28회 부산국제영화제 포스터...
<영웅본색>...
<원 모어 찬스> 이미지: 부산국제영화제 공식 홈페이지...
한국영화는 언제나 위기였지만, 코로나 팬데믹 시기를 지나고 OTT 시대와 맞물리면서, 그리고 결정적으로 2023년 들어 <범죄도시3>를 제외하고는 믿었던 기대작들이 줄줄이 흥행에 실패하면서 그 위기론은 가중되고 있다.
내 사랑 카론은 어디에!...
북소리를 울리며 지아장커는 경고한다...
영화계에서 리메이크는 흔한 일이다. 오래된 명작을 다시 조명하거나, 어떤 나라에서 크게 성공한 작품을 타국에서 만드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범위를 확 좁혀, 자신의 작품을 다시 한번 만든 감독들의 사례를 모아봤다.
대중들의 많은 사랑을 받는 스타들은 그 사랑을 돌려주는 방식 중 하나로 기부를 실천한다. 최근엔 루게릭병 환우들을 위한 ‘아이스버킷 챌린지’부터 강원도 산불 피해까지 릴레이 형식의 기부가 이어지면서 스타들의 기부는 더욱더 화제의 중심에 서고 있다.
“나는 로렌스 피시번이 아니다”라고 적힌 티셔츠를 입은 사무엘 L. 잭슨....
시기에 따라 자주 보이는, 깊은 인상을 남기는 배우들이 있다. 그들의 가치는 차기작의 빈도와 밀도로써 증명되기도 한다. 근래 유독 뚜렷한 행보를 보여주는 할리우드 배우 10명의 신작을 간단히 정리했다.
설날 연휴가 돌아왔다. 올해는 언뜻 비슷해 보이는 두 한국영화 <극한직업>과 <뺑반>이 박스오피스 1위를 두고 경쟁했다. 한 주 일찍 개봉해 놀라운 흥행 기록을 써나가고 있는 <극한직업>이 <뺑반>에 월등하게 앞선 상태라 승자는 일찌감치 정해졌다는 분위기다. 작년, 재작년은 어땠을까.
어떤 한 단어를 보고 연상할 수 있는 것들이 천편일률적이지 않고 의외로 다양하다는 걸 새삼스레 깨닫곤 한다. 머리로 이해하는 것과 가슴으로 느끼는 것이 그만큼 다른 것이고 그래서 사람이라는 존재가 비슷하면서도 다르다는 거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