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리우드 속편의 모범 답안 〈에이리언 2〉
지난 여름 <에이리언: 로물루스>가 개봉했다. 한동안 부진했던 <에이리언> 시리즈를 다시 본 궤도에 올렸다는 평가가 많았다. 특히 시리즈 최고 작품이라는 <에이리언>, <에이리언 2>를 기반으로 해당 작품의 향수와 세계관을 계승한 점도 돋보였다.
지난 여름 <에이리언: 로물루스>가 개봉했다. 한동안 부진했던 <에이리언> 시리즈를 다시 본 궤도에 올렸다는 평가가 많았다. 특히 시리즈 최고 작품이라는 <에이리언>, <에이리언 2>를 기반으로 해당 작품의 향수와 세계관을 계승한 점도 돋보였다.
리들리 스콧 감독의 <프로메테우스>(2012)는 결과적으론 실패작에 가깝다. 물론 사견이다. 애초 <에이리언> 시리즈의 프리퀄로 기획되었으나 ‘에이리언’의 기원에 대해서도, 영화 자체의 기본적 구성에서도 신통찮은 면이 많기 때문이다.
<에이리언> 시리즈의 신작 <에이리언: 로물루스>가 8월 14일 개봉 이후 국내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하는 등 관객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이처럼 오랜만에 돌아온 얼굴이 극장에서 활약하는 것을 자주 보게 되는 요즘.
쉴 새 없이 신작이 쏟아지는 시리즈가 있는가 하면, 아무리 인기가 많아도 작품 외에서 벌어진 '어른의 사정'으로 시리즈가 툭 끊겨버리는 일이 있다. 그럴 때면 팬들은 뭔가 새로운 작품이 나오길 입맛만 다실 수밖에 없는데, 그럴 때 영화 대신 새로운 미디어로 활로를 뚫으며 팬들의 허한...
행복의 나라 감독 추창민 출연 조정석, 이선균, 유재명 김형석 영화 저널리스트 변호인 ★★★☆ <그때 그 사람들>(2005)로 임상수 감독이 포문을 연 후 <남산의 부장들>(2020) <서울의 봄>(2024) 그리고 <행복의 나라>까지,...
입추가 지났지만, 더위는 가실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한없이 무기력해지는 요즘, 이럴 땐 시원한 극장으로 달려가 오싹한 공포영화 한 편을 보고 싶다. 한 손엔 라지 사이즈 제로 콜라를 들고, 다른 쪽엔 팝콘을 끼고 시원한 극장에 앉아 있으면 피부에 남아있던 뜨거움이 사라지는 기분이다.
새 술은 새 부대에,라는 옛말이 있지만 지금처럼 변화의 속도가 빠른 시대엔 새 술을 새 부대에 담으려다 놓치는 수가 있다. 지금의 AI 시장이 그렇다. 텍스트를 쓰면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취합해 새로운 결론을 도출해 주거나 새로운 데이터로 만들어주는 생성형 AI가 등장한 이후 몇 달...
월트 디즈니의 21세기 폭스 인수 후 처음으로 공개하는 시리즈의 신작
20세기 스튜디오가 리들리 스콧이 제작하고 페데 알바레즈 감독이 감독과 공동 각본을 맡은 공상과학 고전 <에이리언> 시리즈의 7번째 영화 예고편을 공개했다. <에이리언: 로물루스>는 버려진 우주 정거장을 청소하던 중 우주에서 가장 무서운 생명체와 마주하게 되는 젊은 우주 식민지...
‘인간의 몸은 거짓을 말하지 않는다’던 <피지컬:100>이 기조를 바꾸었다. 1년여 만에 돌아온 <피지컬:100-언더그라운드>는 여전히 완벽한 피지컬을 탐구하지만 ‘자신의 피지컬을 증명’하라며 냉혹한 목소리로 참가자들과 거리를 둔다.
최고의 필름 포맷, 그 룩을 그대로 관찰할 수 있는 현존 최고의 물리매체
※ 하기의 스크린샷은 리사이즈 과정을 거친 이미지로 원본과 상이함을 미리 밝힙니다-편집자 주 지난해를 돌이켜보면, 크리스토퍼 놀란의 <오펜하이머>(2023)를 올해의 영화 중 하나로 꼽는데 이의를 제기할 분은 그리 많지 않으리라 짐작해봅니다.
리들리 스콧의 장대한 시대극 필모그래피를 <글래디에이터> 이전과 이후로 나눈다면, <나폴레옹>은 가장 현대와 가까운 시점의 영화다. 1793년, 혁명의 불꽃이 프랑스 전역을 밝히기 시작한다. 코르시카 출신의 장교 나폴레옹(호아킨 피닉스)은 혼란스러운 상황 속 영웅으로 떠오른다.
스파이크 리 소신 발언 "일본에서 일어난 일 보여줬어야..." ...
'전설의 시작'...
1. 연출가 김아라 누군가 말했다. “김아라라는 이름 자체가 하나의 장르”라고. 실험과 전위로서 대중적 성공과 연극 미학의 완성에 이르기까지 40년 오로지 연출가의 길을 걸어온 김아라는 배우 최민식의 출세작인 <에쿠우스>, <사로잡힌 영혼>, 셰익스피어 4대 비극, 그리스 비극...
단연코 크리스토퍼 놀란의 (현재까지) 최고작이 아닐 수 없다. 각본, 연출, 음악, 촬영, 편집까지… <오펜하이머>는 영화를 구성하는 거의 모든 요소의 ‘끝판왕’을 보여준다. 3시간의 러닝타임 동안 그 어떤 부분에서의 아쉬움도 주지 않는, 2023년 기준, 인간이 만들 수 있는 영화의...
<오펜하이머> 한국인이 좋아하는 영화감독, 크리스토퍼 놀란이 <테...
할리우드가 언제 리메이크나 속편 제작을 멈춘 적이 있냐마는, 마치 작전이라도 짠 듯 갑자기 고전 호러의 리메이크나 속편 소식이 들려오는 건 신기하다. 그동안 대중적으로 유명한 호러 영화, 아니면 마니아들에게 추앙받는 작품들을 꺼내든 진풍경이 한편으론 기대가 되고, 한편으론 패착이...
사진 제공=안다미로...
복수의 씨앗이 가슴 속에 자라나기 시작한다면, 얼마나 많은 이들의 피를 먹어야만 잎이 나고, 꽃이 피며, 열매를 맺은 채 생을 마감할 수 있을까. 아버지의 죽음을 두 눈으로 목격한 소년은 매일 밤 잠자리에서 그 장면을 되새긴다.
고담을 바라보는 배트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