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동 〈눈 오는 날〉 포함 단편소설집, 미국서 영문판 출간
영화감독이자 소설가로 활동 중인 이창동(71)의 단편소설집이 영문판으로 미국에서 출간된다. 문학과지성사는 17일 "미국 펭귄북스가 이창동의 소설들을 엮은 영문판 선집, 'Snowy day and other stories'를 오는 18일 발간한다"고 밝혔다.
영화감독이자 소설가로 활동 중인 이창동(71)의 단편소설집이 영문판으로 미국에서 출간된다. 문학과지성사는 17일 "미국 펭귄북스가 이창동의 소설들을 엮은 영문판 선집, 'Snowy day and other stories'를 오는 18일 발간한다"고 밝혔다.
배우 본인이 인정하는 “오랜만에 보는 얼굴”로 돌아왔다. 공백기가 길었던 것도 아닌데, <1승>의 배우 송강호가 더욱 반갑게 느껴지는 건 그런 이유일 것이다. ‘천만배우’, ‘국민배우’라는 다소 무게감 있는 타이틀을 달기 전, 소시민의 얼굴을 한 송강호가 <1승>에 담겨이기 때문.
지난주 한 유튜브 채널에 출연한 하정우가 성공한 작품과 실패한 작품의 차이를 설명하며 “300억짜리 영화에 주연배우가 예술하면 안 된다”라 일갈했다. 티켓값이 오르면서 관객들이 흥행작의 속편이라는 안전한 선택을 하고 블록버스터 중심의 관람 행태가 증가하며 배우뿐 아니라 새로운 영화를...
인터넷 커뮤니티를 두루두루 둘러보는 걸 즐기는 필자는 요즘 이 영화 언급이 급격히 많아진 것을 느꼈다. 1999년 한국영화 <쉬리>다. <쉬리>야 한국영화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이정표와 같지만 나온지 25년이 넘은 지금, 갑자기 여기저기서 재소환되고 있는 모습은 꽤 진풍경이다.
남편의 사고사 이후 조선소에 일하며 생계를 이어가는 윤화(김금순)는 어느 날 급작스러운 해고 통보를 받는다. 비트코인으로 전 재산을 날린 아들과 학업은 뒷전인 채 서울로의 탈출만 꿈꾸는 딸. 그리고 ‘남편 잡아먹은 여자’라 욕하며 땅을 빼앗으려는 친척들까지….
2000년대를 전후로 한국 극장가에는 ‘조폭 코미디’물이 하나의 장르로서 기능했다. 조폭 코미디물이 한국영화계에 미친 영향이 과연 긍정적이었는지, 혹은 악영향에 그쳤는지에 대해서는 그때나 지금이나 많은 이견이 존재하지만, 일부 배우들에게는 필모그래피의 전환점, 혹은 연기 활동의...
영화의 말은 문학이다. 그리고 그 어떤 것보다 우리 시대를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세상의 지도다. 지난해 7월 박찬욱 감독, 정서경 작가의 <헤어질 결심> 각본집은 출간되기도 전에 예약판매만으로 베스트셀러 1위에 올랐는데, 한 온라인 서점에서는 예약판매를 시작한 당일 6천 부 이상 주문이...
절대 깨어나서는 안 될 것의 봉인이 풀린다. 세상을 지옥으로 만들어버릴 이 어둠의 존재를 막기 위해 분주한 이들을 쫓는 남자가 있다. 괴이한 모습으로 사람들이 죽어가는 알 수 없는 사건의 비밀을 하나씩 들춰내며 미스터리한 세계와 현실의 경계를 허무는 그가 바로 박해준이 연기하는 강력계...
<라스트 미션> 클린트 이스트우드....
배우 대신 감독. 정진영이 이번엔 카메라 앞이 아닌 뒤에서 관객들을 만난다. 6월 18일 개봉한 <사라진 시간>은 정진영이 각본과 연출, 제작까지 도맡아 완성한 입봉작. 사건을 좇던 형사가 사회 속에서 자신의 흔적이 점점 희미해지는 걸 느낀다는 스토리만큼, 배우 정진영이 연출했단...
베스트셀러 소설 <아몬드>의 손원평 작가의 영화감독 입봉작 <침입자>가 개봉 2주차에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소설가, 시인에서 영화감독으로 데뷔한 사례들을 소개한다....
‘A room’은 <Actor's room> 즉, <배우의 방>을 뜻합니다. (캐릭터에 빠져 사는) 배우가 나로 돌아가는 시간을 묻고자 하는 게 이 인터뷰 기획의 핵심입니다. 배우의 얼굴 보다 그의 공간이 더 깊이 담깁니다. 작품이야기보다는 배우의 생각을 들어보려고 합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 19)의 확산으로 영화계가 얼어붙었다. 16년 만에 극장가는 최저 일일관객수를 기록했고, 기대작들은 개봉을 연기했다. 많은 이들의 기대작이었던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 역시 코로나 19의 영향을 피해 가지 못했다.
손재곤 <이층의 악당> / <해치지않아>...
<블러드 심플> <파고>, <노인을 위...
1990년대 한국 영화를 이끈 주역. 한석규는 충무로의 역사에서 그런 인물이다. 이 시기 전성기를 맞은 한석규는 굴곡 없는 흥행의 보증수표이자, 대체 불가능한 연기파 배우였다. 그는 멜로와 누아르라는 전혀 다른 장르를 오가는 동안에도 이질감이 없는 캐릭터로 관객들을 매혹시켰다.
<캡틴 마블>에 등장한 비디오 렌탈숍 블록버스터(맨 위)와 록 밴드 나인 인치 네일스의 티셔츠(위)를 입은 캡틴 마블....
영화계에선 때때로 영화인들의 이해 관계 때문에 많은 일이 벌어진다. 얼마 전 개최된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을 향한 따가운 질책이 있었고, 한국에선 김재환 감독이 멀티플렉스를 향한 일침을 가했다. 도대체 어떤 이유로 이들은 ‘보이콧‘이란 칼을 꺼내든 걸까.
이창동 감독 이창동 감독에 대한 포스트를 준비했다.
처음부터 '스타'로 데뷔 하는 배우는 없다. 현재 한국을 대표하는 배우들 역시 저마다의 무명시절을 거쳐 지금의 자리에 올라섰다. 당시 그들의 활약상을 모아봤다. p. s. 이 목록에는 여자 배우가 없다.